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진룡)가 2013년 1분기 한국 영화산업 결산 결과(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집계) 한국영화 관객 수가 분기 최고기록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1분기 한국영화 관객은 3,845만 명으로 기존 최고기록이었던 2012년 3분기 기록인 3,722만 명을 경신(전년 동기 대비 53.9%, 1,346만 명 증가)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또 한국영화는 1분기 흥행 순위 10위 내에 7편이 포함됐으며, 관객 점유율은 69.4%로 작년 8월 이후 한국영화 강세를 지속하고 있다.
1분기 전체 극장 관객 수는 5,544만 명, 매출액은 4,063억 원으로 2012년 1분기에 비해 관객은 34.9%(1,435만 명), 매출은 28.3%(896억 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영화 관객 수 분기 최고기록과 함께 2월에는 월간 최고기록과 일간 최고기록도 수립했다.
2월 한국영화 관객 수는 1,810만 명으로 기존 최고기록이었던 2012년 8월의 1,701만 명을 넘겼으며, 2월 11일 한국영화 관객 수는 138만 명으로 기존 최고기록이었던 2007년 8월 4일의 116만 명을 넘어섰다.
매년 1분기는 통상 비수기로 인식돼 왔지만 국민들의 일상적인 문화로 자리 잡은 영화 관람 행위가 다양한 관객층을 고려한 기획과 흡입력 있는 스토리 등 한국영화의 전반적인 수준 향상과 맞물려 이러한 결과를 낸 것으로 분석됐다.
◆대기업 계열 3사의 한국영화 배급시장 점유율 하락
극장 체인을 보유하지 않은 중견 배급사(NEW)의 약진으로 한국영화 배급시장의 대기업 계열 3사(CJ E&M, 롯데쇼핑(주)롯데엔터테인먼트, 쇼박스(주)미디어플렉스) 관객 점유율이 전년 대비 큰 폭으로 하락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영화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선순환 생태계 구축이 필요하다는 판단하에 현장 스태프들의 근로 여건을 개선하기 위한 노사정 협약의 조속한 체결을 추진할 예정이다.
또 최근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온라인 영화 부가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해 ‘온라인 부가시장 통합전산망’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올해 1월에 영화진흥위원회와 KT 미디어허브, SK 브로드밴드미디어, LG U+ 미디어로그, 홈초이스가 ‘영화 디지털 온라인 시장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으며, 향후 구축되는 통합전산망에 의무적으로 정보를 제공하게 하는 취지의 법령도 마련할 계획이다.
더불어 내수시장의 한계를 극복하고 한국영화의 해외진출을 가속화하기 위해 해외진출 지원을 확대해 나가고 있으며, 국제영화계에서 새로운 시장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중국 진출을 뒷받침하기 위한 한중 국제공동제작협정을 상반기 중에 체결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