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아시아최초 유방암유전자 예측모델 ‘코브라연구’ 발표 - 가족성 유방암 환자 4명 중 1명, 유방암 위험 높이는 ‘BRCA 돌연변이 유전자…
  • 기사등록 2013-11-13 12:45:17
  • 수정 2013-11-13 18:49:21
기사수정

전국 36개 병원, 유방암 환자 3,060명 대상, 6년간 대규모 연구 진행 결과

가족성 유방암 환자 4명 중 1명이 유방암 위험을 높이는 ‘BRCA 돌연변이 유전자’를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유방암학회(회장 윤정한, 이사장 송병주)가 10월 유방암 예방의 달을 맞아 한국형 유전성 유방암의 지형을 알려 줄 대규모 연구 자료인 한국인 유전성 유방암 연구(KOHBRA, Korean Hereditary Breast Cancer Study)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조사됐다.

이번 조사는 전국 주요 36개 병원 유방암센터에서 3,060명의 유전성 유방암 고위험군 유방암 환자와 가족을 대상으로 지난 6년간 진행했으며, 총 2,526명의 유방암 환자 중 16.5%(418명)에서 유전성 유방암을 유발하는 BRCA1/BRCA2 변이 유전자가 발견됐다.

(표) BRCA 변이 유전자 보유 비율
3-1.JPG

◆코브라 계산기 입력하면 BRCA 변이 유전자 보유 확률 간단히 계산
이번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가족력이 변이 유전자 보유 여부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방암이나 난소암 가족력이 있는 고위험군 1,168명 가운데 10명 중 2명 이상(23.7%)이 변이 유전자를 가진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표) 가족성 BRCA 변이 유병률  
3-2.jpg
 
가계 내 유방암 환자가 본인을 제외하고 1명 이상인 경우 돌연변이 유전자를 보유한 유병률이 18.7%였으며, 2명 이상이면 33.3%, 3명 이상일 경우에는 절반 이상이 돌연변이 유전자를 보유해 가족 내 유방암 환자 수가 늘어날 때마다 변이 유전자 보유 유병률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표) 유방암 가족력 보유한 고위험군 변이 유전자 보유 비율
3-3.JPG
       
가족 중 난소암 환자를 1명 이상 보유한 고위험군도 BRCA 유전자 변이 유병률이 25.9%였으며, 난소암과 유방암 모두에 가족력이 있으면 변이 유전자를 보유할 유병률이 60%였다.

특히 가족에는 부모, 자녀, 형제 등의 직계 외에 2등친(조부모, 고모, 이모, 삼촌)과 3등친(조카 등)까지 포함되어 유전자가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흔히 모계에서 유전된다는 편견과 달리 부계를 통해서도 변이 유전자가 전달될 수 있으며, 부모나 형제에서 유전자 변이가 있을 경우 자녀나 다른 형제에게 변이 유전자가 전달될 확률이 50%다.

유전성 유방암 고위험군 중 가족력이 없는 경우에도 환자 1,242명중 약 9.3%(115명)에서 BRCA 유전자 변이가 발견됐다.

양쪽 모두에 유방암이 생긴 경우 변이 유병률이 12.1%였고, 유방암과 난소암이 함께 발병한 위험군의 변이 유병률이 16.7%였다. 40세 이전에 유방암이 발병한 경우에도 7.6%가 변이 유전자를 가지고 있었다.

(표) 비 가족성 고위험군에서 위험요소별 BRCA 변이 유병률
3-4.jpg

유전성 유방암을 유발하는 BRCA1 또는 BRCA2 유전자 변이 보유 가족을 대상으로 진행한 세부 연구에서 70세까지 생존한다고 가정했을 때 두 종류 중 한쪽이라도 돌연변이가 발생할 경우 10명 중 7명이 유방암에 걸릴 수 있으며, 2명은 난소암에 걸릴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유방암학회 김성원 교수(분당서울대병원 외과, 한국인 유전성유방암 연구 총괄책임자)는 “유전적 원인으로 발생하는 유방암은 전체 유방암의 최대 10%에 불과하지만, 변이 유전자를 보유하면 유방암/난소암 위험이 크게 커짐은 물론이고, 위암, 대장암, 전립선암 등 다른 암 발병 위험도 커진다”며 “‘유전성암’은 생활 습관 등이 동일해 비슷한 질환이 발생하는 ‘가족성암’과는 다른 것으로 가계에 유전력으로 인해 세대를 거듭해 지속해서 유방암이 발병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한국인 유전성유방암진료 권고안 발표 
한국유방암학회는 한국인 유전성유방암 연구 (KOHBRA study, Korean Hereditary Breast Cancer Study)로 명명된 이번 연구 결과로 한국인 유전성 유방암의 특징을 규명하고, 유전성 유방암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진료 지침을 마련했다.

우선 유전자 변이 검사 대상자를 명확하게 규정했다.

▲BRCA1/BRCA2 유전자에 변이가 있는 환자의 가족이나 ▲본인이 유방암이고, 유방암/난소암 가족력이 있는 경우 ▲35세 이전 발생한 유방암 ▲양측성 유방암 ▲유방/난소암이 동시에 발생한 여성은 유전자 변이 여부 검사가 필요하다는 권고안을 마련했다.

BRCA 유전자 검사 대상자 선별을 위한 예측 모델 (KOHBRA BRCA Risk Calculator, KOHCal)은 KOHBRA 연구 홈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www.kohbra.kr)

(표) 유전성 유방암 검진 권고 대상
3-5.JPG

한국유방암학회 이민혁 교수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외과 이민혁 교수, 한국인 유전성유방암 연구 책임자)는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있는 여성은 암발생의 위험이 높은 것은 사실이나, 무조건적인 유전자 검사와 무분별한 절제술이 능사가 아니다”며 “유전자 검사에는 윤리적인 책임이 따르기 때문에 주치의와 충분한 유전상담을 통해 검사 여부를 결정하고, 진단 후에는 정기적인 검진으로 유방암을 조기진단하고, 예방적 절제는 신중히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BRCA 유전자 변이가 발견되면 유방암과 난소암 발생 위험이 크게 높아지므로 집중적인 진단과 예방 조치가 필요하다.

유전성 유방암은 기타 유방암과 달리 젊은 나이에 발병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만 18세부터 유방 자가 검진을 하고, 25세부터는 6개월 간격으로 전문의를 찾아 유방 촬영과 MRI를 함께 진행한다.

유방암의 예방을 위해서 타목시펜을 복용할 수 있으며, 가족력이 많은 경우 예방적 유방절제술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난소암 검진은 35세 이상의 여성에서 경질초음파와 CA125 종양표지자 검사를 할 수 있으나 조기진단률은 낮은 편이다.

따라서 출산을 마친 여성은 35-40세에 예방적 난소절제술을 적극 추천하며, 이를 통해서 사망률의 감소도 기대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위암, 대장암, 췌장암, 전립선암 등의 위험률 증가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검진도 함께 진행한다.

[유전성 유방암 고위험군 및 변이 유전자 보인자의 검진/치료/예방법]
1. 생활 습관의 변화
- 유방암 위험을 높이는 무분별한 여성 호르몬 사용 자제(호르몬 치료 시 1년 주기로 자궁내막암/유방암 검사 시행)
- 금주(적은 양의 음주도 유방암 발병 위험을 증가 시킴), 활발한 신체활동과 균형 있는 식사를 통한 체중 조절 등
2. 암 발병 감시
▷유방암 발병 감시
- 18세부터 매달 규칙적인 유방암 자가 검진(월경 후 5일~7일 사이에 실시/월경 없을 시 일정한 날짜를 정해서 실시)
- 25세부터 6개월 간격으로 유방암 검진(매년 맘모그램, 유방초음파, 유방 MRI 검사)
3.  화학적 예방 
타목시펜, 랄록시펜 등 복용(반드시 전문의와 상의 필요
4. 예방적 수술
- 예방적 유방 절제술: 유방암 위험 90% 이상 낮출 수 있음, 선택적 유방 복원술 시행 가능
- 예방적 난소 절제술: 35~45세에 출산 이후 시행, 난소암 97% 예방, 유방암 위험도 50% 감소
 
한국유방암학회 김성원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아시아 최초로 유전자 검사 권고 대상자를 선별하고, 한국인 BRCA 유전자 변이 예측 모델을 개발하는 성과를 거두게 됐다”며 “특히 유방암 진료 권고안에 유전성 유방암이 새롭게 추가됨으로써 유전성 유방암의 대상 환자 선별과 상담, 예방적 치료 등에 대해 상세히 밝혀 향후 유전성 유방암 치료에 새로운 지평을 열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현재 국내 유전성유방암 진료현황 조사에 따르면 적어도 1,042명의 BRCA1/2 변이 보인자가 확인됐으며, 2012년 한 해에만 1,318명이 유전자 검사를 시행하여 향후 유전자 변이 양성 환자는 계속 늘어날 전망이다.

이들의 예방적 수술 현황을 보면, 현재까지 양측 유방절제술을 시행한 여성은 2명, 유방암환자가 반대편 유방을 절제한 여성은 21명, 예방적 난소절제술은 전체 여성 중 137명 (약 13%)에서 시행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2007년 6월부터 2013년 5월까지 보건복지부 암정복추진사업단 후원으로 진행됐으며, 한국유방암학회 산하 36개 의료기관이 참여한 전향적 다기관 공동연구이다.

연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www.kohbra.kr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384314150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한국녹내장학회, 2024년 ‘세계녹내장주간’ 캠페인 진행…학회 창립 40주년 국제포럼 예정
  •  기사 이미지 대한노년근골격의학회 권순용 회장 “노인의학 다학제 진료 수가 신설 등 필요”
  •  기사 이미지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2024춘계학술대회 첫 지방 개최…약 600명 참석
대한골대사학회
대한두경부외과학회
대한비만연구의사회
위드헬스케어
캐논메디칼
올림푸스한국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