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부부 신장이식 3배 증가…이식성적 95% 이상, 혈액형적합성 상관없이 우수 - 서울성모 장기이식센터 양철우 교수팀, 혈액형부적합이식 도입 후 7년간 한…
  • 기사등록 2017-05-24 17:07:22
  • 수정 2017-05-24 17:09:16
기사수정

최근 부부(夫婦)이식이 증가하고, 이식 후 치료 효과도 혈액형 적합부부이식과 비교해도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장기이식센터(센터장 양철우 교수)가 혈액형 부적합 신장이식 도입 후 7년간 한국 신장이식을 조사한 대규모 연구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난치병인 말기 콩팥병 환자는 콩팥의 기능이 소실 되 건강한 신장을 이식받는 것이 살 길이나 평균 대기기간이 5년으로 뇌사자 이식이 쉽지 않다.

의학기술의 발달로 혈액형이 다른 사람의 콩팥도 기증받을 수 있는 혈액형 부적합 이식이 시작되면서 건강한 사람의 신장 하나를 떼어내 환자에게 이식하는 생체 이식이 늘었다.

특히 한국의 핵가족화로 형제자매와 자녀 기증이 감소하면서, 배우자는 혈연관계 공여자 못지않게 큰 잠재적 공여자이나 혈액형 부적합으로 인하여 공여가 불가능했다.

이번 연구 결과 배우자의 신장기증이 공여자 부족현상 해결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서울성모병원 장기이식센터 양철우·정병하 교수팀은 우리나라 신장이식 환자 데이터 베이스(KOTRY) 및 보건복지부 장기이식관리센터 KONOS 자료를 이용하여 혈액형 부적합이식이 시행된 2007년부터 2014년까지 7년간 3,035건의 생체신장이식을 조사하여 부부이식의 증가율과 혈액형 적합·부적합 부부이식의 이식성적을 비교했다.
 
4-2.jpg

혈액형 부적합 이식 비율은 부적합 이식을 도입한 2007년에는 0.3%였지만, 2014년에 21.7%로 증가했다. 부부이식은 2003년 전체 생체신장이식의 10%였지만 혈액형 부적합 이식이후 매년 급속도로 증가하여 2014년 31.5%까지 증가했다.

부부이식이 77.6%로 비혈연간 신장이식중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이중 혈액형 부적합이식비율은 20.9%로 이는 혈연간 혈액형 부적합이식 9.8%보다 두배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5건의 부부이식중 1건은 혈액형 부적합 이식을 받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혈액형 부적합 이식이 도입된 이후 부부이식이 다른 생체이식에 비해 두드러지게 증가했다는 것을 반영한다.

또 혈액형 부적합 부부이식의 주요 성적을 혈액형 적합 부부이식과 비교해보니, 급성거부반응 발생율 (23.9% vs. 15.8%),  이식신장 생존율(3년 생존율: 96.4% vs. 96.7%), 이식 환자 생존율(3년 생존율: 95.7 vs. 98.2%)로 모두 차이가 없이 우수했다.

만성 콩팥병 환자는 고령자의 증가와 함께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국내 건강보험 통계에 따르면 2008년 8만 3,000명이던 환자는 7년 만인 2015년 배가 넘는 17만 2,000명으로 늘어 당뇨, 암, 심잘질환 등 다른 만성질환보다 가장 높은 증가세를 나타냈다.

이처럼 콩팥이 심한 손상을 받고 기능이 감소하여 의료적인 처치 없이는 생명 유지가 어렵게 되면, 정상 기능을 할 수 없는 콩팥을 대신하기 위해서 다른 사람에게서 기증받은 건강한 콩팥을 수술 받는 신장이식이 필요하다.

콩팥은 산 사람이 기증할 수 있는 장기인데, 공여자와 수혜자의 혈액형이 부적합할 경우 이식 후 이식받는 사람의 몸속 항체가 거부반응 일으켜 이식이 불가능 했다.

하지만 거부반응을 억제시킬 수 있는 항체 주사와 혈액속 항체를 제거하는 혈장교환술의 개발로 혈액형 부적합 이식이 가능해졌다.   

양철우(신장내과 교수) 장기이식센터장은 “부부간 혈액형 부적합이식은 조직형과 혈액형의 두 가지 부적합을 극복해야하는 이식술이지만 이제는 보편화된 이식술로 자리잡았으며, 이번 연구결과를 통하여 우리나라 이식수준이 세계적인 수준에 도달하였다는 것은 학문적으로 입증했다”고 밝혔다.  

또 “우리나라에서 부부간 이식이 늘었다는 점에서 우리나라 사회가 건강하다는 한 단면을 보는 것 같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궁극적으로는 공여의사가 있었어도 혈액형 부적합으로 이식을 할 수 없었던 많은 배우자들에게 신장을 공여할 수 있는 기회가 가능하게 되었다”고 강조했다.

이번 임상연구결과는 SCI 논문인 PLOS ONE 3월호에 게재됐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95613242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4월 17일 세계혈우병의날]주요 제약사들 다양한 캠페인과 기부 등 진행
  •  기사 이미지 [5월 3일 병원계 이모저모②]고려대의료원, 전북대병원, 한국원자력의학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월 제약사 이모저모]한국MSD, 동아쏘시오홀딩스, 앱티스, 한미약품, 테라펙스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대전선병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