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코로나19 감염 후 급성 및 만성 호흡기 합병증 발병 근거 세계 최초 제시 - 경희대 연동건 교수 연구팀
  • 기사등록 2024-06-20 22:45:11
기사수정

코로나19 감염은 주로 호흡기에 영향을 끼쳤다. 하지만 코로나19 감염이 호흡기 관련 합병증에 끼치는 장기적 영향에 관한 정확한 연구 결과가 없으며, 이에 대한 치료법도 연구 중이다. 


이런 가운데 한국과 일본의 대규모 의료빅데이터를 분석해, 코로나19 감염 이후 급성 및 만성 호흡기 합병증 발병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음을 세계 최초로 제시됐다. 


경희대학교(총장 김진상) 의과대학 연동건 교수 연구팀(제1저자 최유진, 김현진, 박재유, 이하연 연구원, 하버드의과대학 강지승 박사)은 다국가 연구팀을 구성해 한국 1,000만 명, 일본 1,200만 명의 대규모 의료빅데이터를 구축했다. 코로나19 감염 이후 새로 생기는 급성 및 만성 호흡기 합병증과 그에 관한 요인을 조사했다.


그 결과 코로나19 감염 이후 호흡기 합병증 발병 확률은 4주 내 급성의 경우 8배, 4주 이후 만성은 1.5배 이상 증가함을 확인했다.

특히 급성 팝병증은 폐색전증, 급성호흡부전, 기흉, 아스페르길루스 폐렴 등이 증가했다. 만성 후유증으로는 간질성 폐질환, 천식, 폐기종, 만성호흡부전, 만성폐쇄성폐질환이 증가한다는 새로운 사실도 밝혔다. 


이런 호흡기 합병증과 후유증은 코로나19 감염 이후 1년 이상 지속할 수 있다는 점도 새롭게 확인했다. 


연동건 교수는 “코로나19는 호흡기 질환으로 만성적 호흡기 후유증이 나타날 수 있다. 코로나19 감염 이후 회복한 후라도 만성적 호흡기 후유증의 질환 발현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네이처가 발간하는 세계적 학술지인 ‘Nature Communications(IF: 16.6)’ 온라인 판에 ‘코로나19 감염 이후의 장기적인 급성 및 만성 호흡기 합병증(Acute and post-acute respiratory complications of SARS-Cov-2 infection: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in South Korea and Japan)’라는 내용으로 게재됐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61721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5~6월 제약사 이모저모]한국존슨앤드존슨, 한미약품, 한올바이오파마, 한국GSK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5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ST, 박스터, 신풍제약, 셀트리온, 한국아스텔라스제약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5월 31일 병원계 이모저모④]국립암센터, 동탄성심병원, 분당서울대병원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대전선병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