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말기신부전 환자, 계획된 투석 사망 위험 감소 효과 확인 - 칠곡경북대병원 임정훈 교수팀
  • 기사등록 2023-05-03 23:20:12
기사수정

투석을 필요로 하는 말기신부전 환자에게 계획된 투석을 시행할 경우, 응급 투석에 비해 투석 시작 후 초기 2년 동안 사망 위험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혈액투석 환자에서 초기 사망 위험이 감소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칠곡경북대학교병원 신장내과 임정훈 교수팀은 사전에 투석을 계획하여 적절한 시점에 안전하게 투석을 시행하는 ‘계획된 투석’이 응급한 상황에서 급하게 투석을 시작하는 ‘비계획 투석’에 비해 가지는 장점을 비교·분석했다.


이번 연구는 국내 최대 다기관 투석환자 코호트인 말기신부전 임상연구센터 (CRC for ESRD) 자료를 이용하여 새로 투석을 시작한 2,892명을 사전에 투석을 준비한 ‘계획 투석’과 ‘비계획 투석’으로 나누어 투석 시작 후 매년 생존율을 비교·분석했다.


그 결과 교수팀은 ‘계획 투석’이 ‘비계획 투석’에 비해 투석 시작 후 초기 2년 동안의 생존율이 높은 것을 확인했다. 


특히 혈액투석을 시행한 환자에서 투석 초기 감염 관련 사망위험이 급감하는 결과를 확인했다.

임정훈 교수는 “아직도 투석을 필요로 하는 많은 말기신부전 환자들이 투석을 망설이고 거부하고 있다”며, “사전에 투석을 준비하여 계획된 투석을 시행한다면 생존율 뿐 아니라 감염위험이나 의료비의 감소에도 도움이 된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연구결과에서도 확인되었듯이 말기신부전 환자들은 계획된 투석의 장점을 확실히 인지하고 담당 의료진과의 충분한 상의를 통해 늦지 않게 적절한 시점에 투석을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지난 4월 14일 세계적인 학술지 네이처의 자매지인 ‘Scientific Reports(IF 4.997)’에 발표됐다.


한편 만성신부전이 말기신부전으로 진행한 환자들은 투석과 같은 신기능을 대체하는 신대체요법을 필요로 한다. 


적절한 시기에 투석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수개월 전에 미리 투석을 위한 준비가 필요하지만, 아직도 많은 환자들이 투석에 대한 거부감으로 인해 사전에 투석을 준비하지 않고 투석이 임박해서 응급하게 투석을 시작하게 된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55343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5월 3일 병원계 이모저모②]고려대의료원, 전북대병원, 한국원자력의학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멀츠, 바이엘 코리아, 신신제약, 사노피, 한국노바티스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한국오가논, 셀트리온, 에스바이오메딕스, 앱티스, 한국다케다제약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a>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대전선병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