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백신 접종 후 소염진통제 먹었는데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난다면? -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정수지 교수
  • 기사등록 2021-09-01 00:43:48
기사수정

최근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소염진통제를 복용하며 약물알레르기를 호소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닜다.
통증과 발열은 누구에게나 일상적으로 쉽게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이며, 이때 해열 소염진통제는 가뭄에 단비와 같은 존재이다. 특히 아스피린을 포함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이하 NSAIDs(엔세이드)]는 병원은 물론 약국에서도 쉽게 구할 수 있는 대표적인 진통제이다.
이 약물들로 인해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크다.
그렇다면 NSAIDs(엔세이드)에 알레르기가 있다면 소염진통제 복용은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


◆NSAIDs 알레르기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NSAIDs에 의한 약물 알레르기는 약물 노출 후 증상이 발생되는 시간에 따라 노출 후 1~2시간 이내, 길게는 24시간 이내에 발생되는 즉시형 반응과 24시간 이후에 발생하는 지연형 반응으로 나눌 수 있다.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정수지 교수는 “대부분의 NSAIDs 알레르기는 즉시형에 해당된다. 즉시형 반응의 경우 코막힘, 콧물, 호흡곤란, 심하면 천식과 같은 기관지 수축이 동반될 수도 있으며, 피부반응 즉 얼굴 홍조나 두드러기, 혈관부종이 나타나기도 한다”며, “다른 약물 알레르기와는 다르게 다양한 NSAIDs 약품에서 모두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 것이 특이하다”고 밝혔다.
또 “천식이나 코용종을 동반한 비염, 만성 두드러기가 있다면 이러한 알레르기가 더 흔하게 나타날 수 있어 NSAIDs 사용에 더 주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NSAIDs 알레르기, 왜 다양한 약에서 나타날까?
이러한 알레르기가 나타나는 기전은 다소 복잡하다. 일단 염증 및 통증이 어떻게 발생하는지부터 이해해야 한다.
염증이나 통증은 세포막에 있는 아라키돈산이라는 물질이 콕스1 또는 콕스2의 효소에 의해 분해되어 염증 및 통증을 발생시키게 된다(그림1).
NSAIDs는 주로 콕스1 효소를 차단하여 이 분해 물질을 줄여 통증을 완화시킨다(그림2). 이때 NSAIDs 알레르기 환자들은 콕스1 효소가 차단되면 록스 효소가 활성화된다.
록스 효소는 마치 3차선 도로에서 한 곳이 막히면 다른 쪽 길이 밀리듯이 알레르기 반응 쪽으로 치우치게 되고 그 결과 두드러기, 얼굴 부종, 천식 증상 같은 알레르기 반응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정수지 교수는 “많은 수의 NSAIDs는 대부분 콕스1 효소를 차단하므로 다양한 종류의 NSAIDs에서 동시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게 된다”고 설명했다.

◆소염진통제 알레르기가 있다면?
다행히 콕스1이 아닌 콕스2를 차단하는 NSAIDs가 있다(그림4). 이를 복용할 경우 록스 효소를 활성화시키지 않기 때문에 알레르기 반응도 없으며 통증 분해 물질도 줄여줘 진통 및 해열 효과를 보이게 된다.
셀레콕시브가 이에 해당된다. 타이레놀도 다른 경로로 진통 효과를 내어 알레르기 반응을 잘 일으키지 않는데, 다만 항염증 작용은 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수지 교수는 “사람에 따라서 셀레콕시브나 타이레놀에도 록스 효소가 활성화돼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경우도 드물게 있어 주의해야 하기 때문에, 꼭 알레르기내과를 방문해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좋다”며, “알레르기내과로 방문하게 되면 자세한 병력 청취를 통해 반복되는 소염진통제 알레르기 병력에서 NSAIDs 알레르기를 진단 받거나 애매한 경우에는 의사 감독 하에 직접 소염진통제를 복용하며 NSAIDs 알레르기를 진단하게 된다”고 말했다.
또 “여기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처방 시 안전한 NSAIDs도 의사 감독 하에 투약해 봄으로써 그 안전성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다”며, “일반의약품이나 다양한 병원에서 흔히 처방돼 다시 알레르기가 재발되는 사례를 막기 위해 알레르기내과에서는 약품 안전카드를 발급하고 환자가 소지하고 다닐 수 있도록 권고한다. 이처럼 소염진통제 알레르기가 있다면 무작정 피하기보다, 꼭 알레르기내과에 내원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는다면 안전하고도 효과적인 진통제 투약으로 통증과 염증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을 것이다”고 덧붙였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44490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4월 2일 병원계 이모저모③]국립암센터, 일산백병원, 칠곡경북대병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한국오가논, 셀트리온, 에스바이오메딕스, 앱티스, 한국다케다제약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5월 3일 병원계 이모저모②]고려대의료원, 전북대병원, 한국원자력의학원 등 소식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대한간학회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