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신장기능 떨어지면 뇌혈관질환 위험도 높아져 - 서울대병원 박진호 교수, 서울부민병원 김상혁 과장
  • 기사등록 2019-07-05 00:31:01
기사수정

신장기능 저하가 뇌혈관질환의 위험도를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서울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박진호 교수와 서울부민병원 가정의학과 김상혁 과장 연구팀은 건강검진을 받은 뇌 MRI 촬영자 2,203명을 분석한 결과 신장기능 저하가 관찰된 수검자의 뇌 MRI 영상에서 뇌백질 고강도 신호(white matter hyperintensity)의 부피가 신장기능 저하가 없는 인원보다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했다. 


뇌백질 고강도 신호는 인지기능 저하, 보행장애, 정서변화, 요실금, 혈관성 치매, 뇌졸중 및 이로 인한 합병증과 관련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박진호 교수는 “신장기능 저하와 단백뇨가 함께 있는 군에서는 두 배 이상 뇌백질 고강도 신호 부피가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신기능 이상이 있다면 뇌혈관 질환 위험이 높아짐을 염두에 두고 적극적으로 뇌혈관 질환에 대한 평가 및 위험인자 관리를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상혁 과장은 “신기능은 혈액 및 소변 검사로 평가할 수 있고, 국가건강검진 항목으로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누구나 저렴하고 쉽게 시행해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Nature 자매지, Scientific Reports 최신호에 ‘신장기능 부전이 뇌백질 고강도 신호의 부피에 미치는 영향 (Kidney Dysfunction Impact on White Matter Hyperintensity Volume in Neurologically Healthy Adults)’라는 제목으로 게재됐다. 

한편 신장은 우리 몸에서 노폐물을 걸러 소변으로 배출시켜주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신체기관이다. 최근 고혈압, 당뇨병 등의 만성질환이 늘어나면서 신장기능이 저하되어 신장투석이나 신장이식을 받는 환자 또한 증가하고 있다. 신장기능이 나빠지면 다양한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는데,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31486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5월 3일 병원계 이모저모②]고려대의료원, 전북대병원, 한국원자력의학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멀츠, 바이엘 코리아, 신신제약, 사노피, 한국노바티스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한국오가논, 셀트리온, 에스바이오메딕스, 앱티스, 한국다케다제약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대전선병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