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0~6세 유행성각결막염 급증…개인위생 관리 중요 - 건강한 눈을 관리하기 위한 생활수칙은?
  • 기사등록 2018-08-28 00:06:03
기사수정

최근 유행성각결막염 의사환자 분율이 급증하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가 진행한 안과감염병 표본감시 결과 유행성각결막염 의사환자 분율은 2018년 33주(8월 12일~18일) 41.3명(외래환자 1,000명당)으로 전년 동기간(33주  24.8명) 대비 166.5% 이며, 30주(7월 22일~28일) 이후 지속적으로 급증세를 보이고 있다. 


33주의 연령별 의사환자 분율은 0~6세가 124.7명(외래환자 1,000명)으로 가장 높았고, 7~19세 69.3명, 20세 이상이 31.2명이었다. 

특히 유행성각결막염은 접촉을 통해 쉽게 전파되며, 매년 가을까지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으므로,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 등 단체생활을 하는 시설에서는 지속적인 주의가 필요하다. 


강동경희대병원 안과 김태기 교수는 유행성 각결막염은 물론 여름철 건강한 눈을 관리하기 위한 생활수칙을 제시했다. 


◆물놀이 많은 휴가철, 유행성 각결막염 주의

본격 휴가철이 시작되면 수영장이나 워터파크 등에 많은 사람이 모이게 되고, 고온 다습한 환경과 맞물려 흔히 눈병이라 하는 유행성 각결막염의 발생이 많아진다. 

유행성 각결막염은 바이러스에 의한 질환으로 직접 접촉, 수영장 물에 의해서 감염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발병하면 눈부심, 눈물, 눈곱 등의 증상이 생기며, 심한 경우에는 결막 표면에 막을 형성하고 각막에 혼탁이 발생할 수 있다. 증상은 2-3주간 지속되기도 한다.  

질병관리본부 감염병관리과는 “감염 예방을 위해서는 올바른 손씻기를 생활화하고, 씻지 않은 손으로 눈과 얼굴을 만지지 않는 것이 중요하며, 단체생활을 하는 시설에서는 수건, 베개, 안약, 화장품 등 개인용품을 다른 사람과 공유하지 않아야 한다”며, “유행성각결막염 예방을 위해 예방수칙을 준수할 것을 당부하며, 의심증상 발생 시에는 즉시 의료기관의 진료를 받고,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 등원하는 어린이는 완치 시까지 등원을 제한하는 등 타인과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자외선 과다 노출, 백내장·광각막염·황반변성 위험

햇볕이 강한 여름철에는 강한 자외선인 UVB 노출이 늘어나게 된다. 우리 눈이 자외선에 노출되면 여러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데, 백내장을 비롯 광각막염, 황반변성 그리고 군날개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자외선이 강한 날은 야외활동을 자제하고 불가피할 경우 선글라스를 착용하거나 양산이나 모자를 써서 눈을 보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자외선 차단 안 되는 ‘진한’ 선글라스- 눈 건강의 적

가장 쉬운 예방방법은 선글라스다. 선글라스를 선택할 때는 자외선 차단여부 확인이 중요하다. 자외선 차단 기능이 떨어지면 선글라스를 써도 효과가 없다. 제일 문제가 되는 것은 자외선 차단 기능은 떨어지면서 색상은 진한 선글라스다. 

진한 색상의 렌즈는 눈으로 오는 가시광선을 줄이기 때문에 눈의 조리개 역할을 하는 동공을 크게 만드는데, 동공이 커진 상태에서 차단되지 않은 자외선이 눈에 더 많이 들어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 눈에 도달하는 자외선의 양이 선글라스를 쓰지 않은 경우보다 오히려 증가 할 수 있다. 


◆나이가 어릴수록 자외선에 취약

특히 나이가 어릴수록 자외선 노출에 더욱 주의해야 한다. 성인의 경우 자외선의 대부분이 수정체에서 걸러져, 최종 망막에 도달하는 자외선은 전체 자외선의 1.5% 정도다. 하지만 소아의 경우 성인보다 수정체가 투명해 더 많은 자외선을 통과시켜 최종적으로 더 많은 양의 자외선이 눈 속으로 들어가게 된다. 

약 75% 이상의 자외선이 수정체를 통과하여 눈 속에 도달한다고 연구되어 있다. 때문에 소아도 햇볕에 노출이 많은 경우 선글라스를 착용하는 것이 좋고, 특히 자외선 차단 기능이 없는 저가 패션선글라스를 착용하는 경우에 안구 내로 자외선 노출이 많아질 수 있어, 자외선 차단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자외선 차단율 99% 이상 권장

일반적으로 선글라스는 자외선 차단율 99% 이상을 권장한다. 렌즈색 농도는 60~80%가 적당하며 앞에서 봤을 때 눈의 형태가 보이는 정도가 좋다. 2년 이상  지나면 렌즈 표면이 미세하게 갈라져 자외선 코팅의 기능이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가까운 안경점에서 6개월~1년마다 자외선 차단 정도를 확인하고, 차단율이 70% 이하로 내려갔다면 선글라스 교체하는 것이 좋다. 

자외선 때문에 눈이 충혈 되고 통증이 있으면 광각막염이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인공눈물을 점안하고 눈을 감은 상태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다.


◆휴가 이후 더 중요한 눈건강 관리 

휴가철 여행으로 인한 장거리 운전으로 인해 눈의 피로가 쌓이게 되고 실내 에어컨 사용이 많아지면서 안구건조증이 발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야외활동으로 오랜 시간 자외선에 노출되게 되면 강렬한 햇빛으로 각막에 화상을 입게 되는 광각막염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휴가를 다녀온 후 충분한 휴식을 가지지 못하는 경우 눈꺼풀에 있는 마이봄선이라 하는 기름 분비샘이 막히면서 다래끼가 발생할 수 있다. 휴가 끝나고 눈 피로 푸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먼 거리를 보거나 눈을 감은 상태를 유지하여 눈의 조절근 휴식 필요  

우리는 사물을 볼 때 조절을 통해서 초점을 맞춘다. 이 과정에서 눈 속에 있는 조절근이 수정체의 두께를 조절하게 되는데 과도하게 눈을 사용한 경우 조절근의 피로가 발생하게 된다. 조절근을 쉬게 하는 방법은 눈을 감아서 조절이 이루어 지지 않게 하거나 먼 거리를 보면서 조절근을 완전히 이완시켜 주는 것이 좋다. 


▲눈꺼풀 마사지 및 온 찜질

우리 눈꺼풀 있는 마이봄선에서 분비되는 기름은 눈물에 있는 기름 층을 형성하여 눈물의 증발을 막아 안구건조증 증상을 완화시킨다. 눈꺼풀 마사지를 통해서 마이봄선이 막히지 않고 투명한 기름이 나오게 해 줄 수 있다. 

마사지 방법은 눈을 감은 상태에서 아래 눈꺼풀의 경우 아래 속눈썹 바로 아래 부위에 손가락을 가로로 대고 위로 밀어 올려주고, 반대로 위 눈꺼풀의 경우에는 아래로 내려주면 된다. 마사지와 더불어 눈에 온 찜질을 해주면 기름이 더 잘 녹아서 마사지의 효과를 좋게 해준다. 온 찜질 방법은 온 찜질 전용팩을 이용해도 되고, 만약 이것이 없다면 수건을 따뜻한 물에 적신 후 물기를 짜내고 눈을 감은 상태에서 눈 위에 올려서 5- 10분간 따뜻하게 해주 면 되고 하루 2회 정도 반복한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27159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보건의료노조, 127개 의료기관 쟁의조정 신청 완료…7월 24일 총파업 예고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한국다이이찌산쿄, 한미약품,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ST, 머크, 알피바이오, 지씨셀, 큐라클 등 소식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대한간학회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