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일어나 걸어가기’ 오래 걸리면 치매 발생률 34% UP - 국가 생애전환기 검진 대상자 5만 3천명, 6년간 추적 관찰 결과
  • 기사등록 2018-03-08 15:07:30
기사수정

일어나 걸어가기 등 간단한 운동능력 검사로 노인의 치매 위험을 효과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이지은·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신동욱 교수팀은 2007년부터 2012년까지 66세 생애전환기 검진을 받은 5만 3,000명의 자료를 분석해, 검진에 포함된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Timed up and go test) 결과와 이후 6년 간 치매 발생 여부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이번 연구에서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 시간이 10초 이상 걸린 대상자는 그 이하인 대상자 보다 이후 6년간 치매 발생 가능성이 1.34배 높게 나타났다. 치매 종류에 따라 살펴보면 혈관성치매가 1.65배, 알츠하이머 치매가 1.26배 높았다.


현재 의학기술로는 치매 진행을 막지 못하기 때문에, 경과를 늦추고 인지기능을 최대한 보존하는데 치료 초점이 맞춰져 있다. 


따라서 치매는 발생위험이 높은 사람을 선별해 예방하고, 필요한 경우 치료를 일찍 시작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지은 교수는 “신체적 노쇠가 인지기능 저하와 연관이 있다고 보는 최근 견해를 이번 연구가 한 번 더 확인해 줬다”며, “신체기능 저하가 의심되는 노인에게는 근력강화, 균형잡기 운동 등 정기적인 신체활동이 필요하며, 이는 치매 예방에도 도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신동욱 교수는 “간단한 운동능력 검사로 치매 고위험군을 선별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 있는 연구였다”며, “신체 기능이 떨어진 노인들의 인지기능을 지속적으로 추적관리 하는 등 제도적 시스템을 도입할 필요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결과는 해외 유수 학술지인 ‘노년학(The Journals of Gerontology)’ 최신호에 게재됐다. 


한편 우리나라 치매 환자 수는 인구 고령화와 함께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2050년에는 국내 65세 이상 노인의 치매 유병률이 현재 2배 수준인 약 15%까지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치매 환자 증가는 사회적 부담으로 이어져 치매국가책임제 등 대책마련 필요성도 함께 강조되고 있다.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는 의자에서 일어나 3m를 걷고 다시 돌아와 앉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다리 근력, 보행속도, 균형감각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24517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한국오가논, 셀트리온, 에스바이오메딕스, 앱티스, 한국다케다제약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셀트리온, 엔케이맥스,,한국베링거인겔하임, 한국오가논, 한올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5월 제약사 이모저모]신풍제약, 셀트리온, 제일헬스사이언스, 한독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대전선병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