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맵핑’기술 입힌 MRI 영상, 심장질환 예후 예측 - 서울대병원, 대동맥판막 협착증 ‘심근T1’ 지표 개발
  • 기사등록 2018-02-27 18:53:32
기사수정

국내 교수팀이 대동맥판막협착증 환자의 예후를 MRI로 예측하는 지표를 개발했다.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이승표, 이희선(강남센터) 교수팀은 2011~2015년 사이 서울대병원에 내원한 대동맥판막협착증 환자 127명의 심장 MRI 정보에 ‘T1맵핑’을 적용했다. 그리고 ‘심근T1값’을 측정한 후 평균 2년 6개월 동안 추적관찰했다.


MRI는 강한 자기장 형성시 인체에서 되돌아오는 자기파를 측정해 영상을 얻는 장비다. 자기파가 돌아오는 시간은 섬유화, 염증, 경색 등으로 주변조직의 상태가 좋지 못하면 늘어나고, 반대일 경우 줄어든다.


이때의 시간을 ‘T1값’이라고 하고, T1값을 색상으로 표현된 영상으로 나타낸 것을 ‘T1맵핑’이라고 말한다.

이 결과 심근T1값이 높을수록 환자의 예후가 좋지 못했다. 값이 가장 높은 군은(심근 섬유화가 가장 심함) 42.9%가 사망과 심부전 악화로 응급입원을 경험했다. 반면 값이 가장 낮은 군은 이 비율이 2.4%에 그쳤다.


심근T1값은 교수팀이 개발한 지표이다.


또 교수팀은 연령, 증상 여부, 심근손상 정도 등 기존에 알려진 대동맥판막협착증의 위험인자와 심근T1값을 함께 분석하면, 수술 후 결과도 예측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127명 중 대동맥판막 치환수술을 받은 환자 87명을 추가로 분석해보니, 수술 전 심근T1값이 가장 높은 군에선 수술 이후 사망 및 심부전 악화로 인한 응급입원이 4건 발생했다.


반면 값이 가장 낮거나, 중간인 군에서는 단 1건도 발생하지 않았다.


이승표 교수는 “대동맥판막협착증은 질환의 상태와 진행 속도, 환자의 증상과 동반 질환 등을 세심히 관리해야 한다”며, “이번 연구는 예후 예측을 가능케 해, 치료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대동맥판막협착증으로 진료를 받는 인원은 2011년 이후 연평균 12.8%씩 매우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2016년 기준 남성 환자는 5,033명으로 2011년 2,794명 이후 매년 12.5%씩 늘고 있다. 여성의 경우도 같은 기간 3,044명에서 5,648명으로 연간 13.2%씩 증가했다.


연령대별 진료인원은 70대 이상이 전체 66.8%로 가장 많았고, 60대가 21%, 50대가 8.4%로 뒤를 이었다.


이희선 교수는 “대동맥판막협착증은 대부분 퇴행성이 원인이라 예방하기 쉽지 않으며, 고령화되는 현대사회에서 환자가 꾸준히 늘 것으로 예상된다”며, “가슴통증, 호흡곤란, 두근거림, 실신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주저하지 말고 순환기내과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한다”고 권고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질환극복기술개발사업(HI15C0399)의 지원을 받았으며, 미국심장학회 공식 자매잡지인 ‘JACC Cardiovasc Imaging’ 최근호에 발표됐다.


한편 대동맥판막협착증은 좌심실과 대동맥 사이 문 역할을 하는 대동맥판막이 좁아져 심장이 피를 잘 내보내지 못하는 질환이다. 좁은 판막 틈으로 피를 내보내기 위해 심장은 더 강하게 수축하고, 시간이 흐를수록 심장근육은 섬유화로 비대해진다.


이로 인해 호흡곤란, 흉통, 실신 등 나타나고, 급사의 위험도 있다.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24342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5월 3일 병원계 이모저모②]고려대의료원, 전북대병원, 한국원자력의학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멀츠, 바이엘 코리아, 신신제약, 사노피, 한국노바티스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한국오가논, 셀트리온, 에스바이오메딕스, 앱티스, 한국다케다제약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대전선병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