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사별가족 93% 호스피스전문기관 이용 “만족” - 가정형 호스피스 시범사업 분석결과 첫 발표 ‘2016 호스피스·완화의료 현…
  • 기사등록 2018-01-30 22:46:58
기사수정

사별가족 10명 중 9명 이상이 호스피스전문기관 이용에 만족해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와 국립암센터(원장 이은숙)가 1월 31일 발간한 ‘2016 호스피스·완화의료 현황’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호스피스전문기관 이용률 2.5% 상승
2016년 말 기준 77개 호스피스전문기관(입원형) 이용현황을 보면, 국내 암사망환자 7만 8,194명 중 1만 3,662명이 전문기관을 이용한 결과, 2015년 말 대비 호스피스전문기관 이용률은 15.0%에서 17.5%로, 2.5% 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77개 전문기관 이용자(1만3662명) 중 가정형 호스피스를 이용한  환자는 전체의 8%인 1,088명로 조사됐다.


2016년 3월부터 입원형과 가정형을 함께 제공해 온 21개 가정형 1차 시범사업 참여기관의 대상 호스피스 이용현황을 보면, 전체 이용자는 4,328명이며, 이 중 입원형만을 이용한 3,240명을 제외하면 이용자의 25.1%인 1,088명이 가정형 호스피스를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21개 가정형 호스피스 1차 시범사업기관 서비스 이용비율(2016.3.1.~12.31, 4,328명)은 ▲가정형만 이용(7.2%, 312명) ▲입원형·가정형 함께 이용(17.9%, 776명) ▲입원형만 이용(75.6%, 3,240명)된다. 


이는 그간 입원형에 국한되었던 호스피스 서비스 유형에 가정형이 추가되면서, 호스피스 이용자 4명중 1명은 가정형 호스피스를 함께 이용하였다는 것으로, 가정에서 지내고 싶어 하는 말기암환자와 가족에게 가정과 병원에서 단절 없는 호스피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환자와 가족의 호스피스 선택권 보장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된다.

가정형 호스피스-가정에서 편안한 임종 지원  
입원형과 가정형 호스피스의 총 등록기간 분석결과를 보면 입원형만 제공한 경우는 25.4일, 가정형을 함께 제공한 경우는 62.9일로, 가정형 호스피스 이용기간이 약 2.5배 긴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입원형 단독운영에 비해, 가정형 호스피스를 함께 운영할 경우 조기에 호스피스를 이용하게 된 결과로 입원형과 함께 가정형 호스피스 제공의 효용성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라고 밝혔다.


또 국립암센터 ‘말기암환자 정보시스템’에 입력된 가정형 호스피스 이용자 중 ‘2016년 사망환자(785명)의 사망장소’를 분석한 현황을 살펴보면, 의료기관에서의 사망 557명(71.0%), 가정 사망 164명(20.9%), 요양원 등 시설에서의 사망 10명(1.4%), 모름 54명(6.9%)로 나타났다.


가정형 호스피스 이용자의 가정에서의 사망비율(20.9%)은 암사망자의 가정사망률 6.9%와 전체사망자의 가정사망률인 15.3%에 비해 높은 편이다.


이는 자연스러운 사망을 맞이하고자 희망하는 환자와 가족이 가정형 호스피스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가정형 호스피스는 호스피스 전문팀에 의한 증상관리 및 가정임종 교육 등을 통해 가정에서 편안한 임종을 맞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대상자 90% 이상 호스피스 전문기관 이용 만족
2016년 호스피스 이용 사망자의 사별가족 대상 만족도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전체 설문응답자 2,323명 중 호스피스 전문기관 이용 만족비율은 2,133명(93%)로 암치료기관의 이용에 만족한다는 응답을 한 1,315명(58%)보다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항목별 평가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호스피스전문기관 서비스 이용’에서는 의료진의 설명이나 이용이 전반적으로 만족률이 높게 조사됐다.


입원 중 ‘고인의 삶에 대한 가족의 평가’에서는 “인간으로 소중하게 대하게 됐다”는 평가가 2014년 이후 가장 높은 점수로 꾸준히 향상되고 있음을 나타내, 호스피스 전문기관이 인간중심의 의료로 자리매김해 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등 전문인력을 대상으로 2016년 한 해 동안 국립암센터, 9개 지역암센터 및 8개 호스피스전문기관이 실시한 양성교육(‘08년 개설)의 경우, 호스피스 표준교육 총 19회 운영에 1,243명이 교육을 이수해 2008년 교육과정 개설 이후 누적 이수자는 총 4,947명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호스피스 실무 멘토링(호스피스 전문기관 운영 및 서비스 제공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 경험 있는 외부전문가가 직접 기관의 현장으로 찾아가 자문하고 노하우를 전수하는 활동 ) 전문가 인력풀을 통해 25개 기관을 대상으로 6개 영역(①운영관리 및 평가, ②환자 가족 교육 및 상담, ③완화요법, ④영적 돌봄, ⑤임종·사별관리, ⑥가정 호스피스)에 걸친 서비스를 제공하여 호스피스 서비스 제공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호스피스 전문기관들을 적극 지원했다. 


복지부는 “이번 ‘2016 호스피스·완화의료 현황’이 가정형 호스피스 시범사업 결과를 분석한 첫 번째 자료로 ‘연명의료결정법’에 따른 호스피스 유형 다양화의 효과성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의미있는 자료이다”고 밝혔다.


또 “향후에도 근거 중심의 호스피스 정책구현으로 중앙호스피스센터와 더불어 호스피스·완화의료 활성화에 적극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번에 발간하는 ‘호스피스·완화의료 현황’은 호스피스전문기관을 포함한 일반국민들이 필요한 정보를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중앙호스피스센터 홈페이지에도 게재한다는 계획이다.

관련기사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23893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한국오가논, 셀트리온, 에스바이오메딕스, 앱티스, 한국다케다제약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셀트리온, 엔케이맥스,,한국베링거인겔하임, 한국오가논, 한올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5월 제약사 이모저모]신풍제약, 셀트리온, 제일헬스사이언스, 한독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대전선병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