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한국인 50대 어금니 Crack 주의…치아신경 괴사 위험 높아 - 서울성모병원 양성은·김신영 교수팀, 3년간 금이 간 182개 치아 조사 결과
  • 기사등록 2018-01-22 12:24:54
기사수정

치아에 금이 가거나 깨지는 치아 Crack (크랙)이 어금니에 가장 많이 생기고, 호발하는 연령대는 50대인 것으로 조사됐다.


크랙을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치아 뿌리까지 크랙이 진행되어 발치해야 하기 때문에 각별한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치과병원 보존과 양성은·김신영 교수팀이 2011년 7월부터 2014년 3월까지 서울성모병원 치과보존과에 내원한 환자 중 182개의 금이 간 치아를 조사한 결과 대구치(어금니)에 금이 가장 많이 생겼고, 하악 제2대구치(25.3%), 하악 제1대구치 (22.5%), 상악 제1대구치 (22.0%), 상악 제2대구치 (17.6%) 순서였다.


연령별로는 50~59세에서 금이 간 치아가 많이 발견됐고, 남녀 차이는 없었다. 


수복물이 없는 자연치에서 37.9%의 빈도로 높게 나타났고, 수복물이 있는 경우에서는 비접착재료인 금(gold inlay)에서 26.9%로 높게 발견됐다.


수복치료는 주로 충치 등 치아에 문제가 있을 때 전체를 치료재료로 감싸서 본래의 상태로 회복시키고 보호하는 치료방법이다.


182개의 금이 간 치아 중 103개(56.6%)에서 3mm 이내의 치주낭 깊이를 보였고, 40개(22%)의 치아에서 4-6mm, 39개(21.4%)의 치아에서 7mm 이상의 치주낭깊이를 보였다.  


치주염이 생기면 치아를 지지하는 잇몸뼈 즉 치조골이 파괴되면서 치아 뿌리와 잇몸이 분리되어 틈이 생기는데, 이 틈에 생긴 주머니를 치주낭이라 한다.


크랙이 치아의 머리부분 (치관부)에만 한정된 경우 크랙 주변의 치주낭은 3mm 이내로 측정되고 이런 경우는 치아 신경도 살아있을 가능성이 높다.


반면에 크랙이 치아의 뿌리부분(치근부)으로 진행된 경우 크랙 주변의 치주낭은 4mm 이상으로 측정되고, 이런 경우는 치아 신경이 죽는(치수괴사)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치수괴사의 빈도는 크랙 주변의 치주낭깊이가 4-6 mm인 치아에서는 31.8% 였고, 치주낭깊이가 7 mm 이상인 치아에서는 28.6%로 조사됐다. 반면에 크랙 주변의 치주낭깊이가 3 mm 이내일 때는 치수괴사의 빈도가 11.3%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치아에 크랙이 생기면 주로 씹을 때, 또는 물었다가 뗄 때 통증을 느낀다. 또한 차가운 것에 극심한 민감성을 나타내거나 어떤 특정한 부위에 음식이 씹히는 경우에 찌릿한 통증이 느껴지는 등 증상도 있다.


이러한 크랙은 우리 인체의 다른 구조와는 달리 스스로 치유되지 않고 뼈와 달리 다시 붙지 않기 때문에 환자는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통증을 느끼고, 크랙은 시간이 지나면 점점 진행되게 된다.


초기에 발견하면 좀 더 진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진단할 수 있어서 수복 치료만으로 완전한 기능회복을 기대할 수 있다.


초기 상태인 경우 우선 주기적 검사를 통해 진행양상을 관찰하고, 어느 정도 진행이 관찰되면 적절한 수복을 통해 심한 상태로의 진행을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시기를 놓치면 수복치료나 신경치료 만으로 기능회복이 어려워지고 치아를 빼야하는 상황에 놓일 수 있다. 그러므로 치아에 크랙이 생기면 빠른 시기에 크랙의 정도와 특성에 맞게 치료 계획을 세워야 좋은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양성은 교수(제1저자)는 “평소에는 통증이 없다가 음식을 씹을 때만 시큰거린다면 치아에 금이 간 것은 아닌지 의심해야 하며, 특히 치아 크랙이 많이 발생하는 50대에는 주기적인 치아건강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나이가 들면 치아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상아질의 피로저항도가 감소하고 치아내 수분의 양이 줄어들면서 치아에 크랙이 잘 생기는 것으로 보이며, 크랙의 진행정도는 의사도 쉽게 알기 어렵고 치료가 잘되었더라도 씹을 때 증상이 지속되면 크랙이 진행되어 치아를 소실할 수도 있으므로, 시기를 놓치지 않고 적절하게 치료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신영 교수(교신저자)는 “치아 크랙 주변의 치주낭 깊이가 4 mm 이상일 때는 이미 크랙이 치근부 및 치아 내부로 진행되었음을 의미하고 이에 따라 치수가 괴사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크랙이 진행되기 전 초기진단 및 치료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치아 크랙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음식을 씹을 때 한 쪽 치아만 많이 사용하지 말아야 하며, 얼음 등의 딱딱한 음식을 씹어서 치아에 무리를 주는 행동은 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번 연구는 세계적인 의학출판사에서 발행하는 스프링거 네이쳐의 자매지 ‘BMC oral health’ 11월호에 게재됐다.

(a) 수복물이 없는 하악 제1대구치에서 발생된 crack (검정 화살표)
(b) 크라운 수복을 위해서 지대치 삭제한 사진, crack이 치아의 중심에서 원심면으로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음 (검정 화살표)
(c) 동일 치아의 치근단 방사선 사진. crack 주변의 치주낭 깊이가 7 mm로 측정되었고 치아신경이 괴사되어 치근단 염증이 발생했음을 확인할 수 있음
(d) 신경치료 완료 후 치아내부 사진. 치아의 원심면 crack이 치수강 깊이까지 연장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음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23744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5월 3일 병원계 이모저모②]고려대의료원, 전북대병원, 한국원자력의학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멀츠, 바이엘 코리아, 신신제약, 사노피, 한국노바티스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한국오가논, 셀트리온, 에스바이오메딕스, 앱티스, 한국다케다제약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대전선병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