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시만텍, ‘워너크라이’ 랜섬웨어 대규모 확산 경고…몸값 300달러 요구 - MS 윈도 취약점 악용…유럽 포함 전 세계에 빠르게 확산 중
  • 기사등록 2017-05-14 15:32:18
  • 수정 2017-05-14 15:33:49
기사수정

시만텍이 데이터 파일을 암호화하고 몸값을 요구하는 ‘워너크라이 랜섬웨어(Ransom.Wannacry)’가 유럽을 중심으로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다며 보안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4-1.jpg
워너크라이 랜섬웨어 감염 시 컴퓨터에 표시되는 몸값 요구 화면
(사진 : 시만텍코리아 제공)

시만텍의 조사에 따르면 워너크라이 랜섬웨어는 데이터 파일을 암호화하고 사용자에게 300달러의 몸값을 비트코인으로 지불하도록 요구하는데, 3일 내에 몸값을 지불하지 않으면 지불금액은 두 배로 늘어나며 7일 내에 지불하지 않게 되면 암호화된 파일은 삭제된다고 경고하고 있다.

또한 몸값 지불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Please Read Me!.txt’라는 파일을 생성한다.

워너크라이 랜섬웨어는 .3ds, .ai, .asf, .asm, .asp, .avi, .doc, .docx, .gif, .gpg, .hwp, .java, .jpeg, .jpg, .mp3, .mp4, .mpeg, .ost, .pdf, .png, .ppt, .pptx, .psd, .pst, .rar, .raw, .rtf, .swf, .tif, .tiff, .txt, .wav, .wma, .wmv, .zip 등의 확장자명을 가진 파일을 암호화하는데 파일명 끝에 .WCRY라는 확장자를 추가한다.

워너크라이 랜섬웨어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를 사용하는 컴퓨터를 겨냥한 SMB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MS17-010)을 이용해 다른 컴퓨터로 전파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워너크라이 랜섬웨어가 특히 전 세계에서 대규모로 확산되고 있는 이유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의 알려진 취약점을 악용하여 사용자의 활동과 관계 없이 기업 네트워크 내에서 스스로 확산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조사됐다.

윈도 보안 업데이트가 최신 상태로 적용되어 있지 않은 컴퓨터는 감염 위험이 있기 때문에 업데이트를 다운로드 받는 것이 필요하다.

시만텍 인터넷 보안 위협 보고서(Internet Security Threat Report) 제22호에 따르면 2016년에 전 세계 랜섬웨어 공격은 전년 대비 36%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6년 1년 동안 100개 이상의 신규 랜섬웨어 패밀리(동일한 범주로 구분한 변종 악성코드의 집합)가 발견됐다.

또 2016년 랜섬웨어 범죄자들이 평균적으로 요구한 금액은 평균 1,077달러(한화 약 122만원)로 2015년 294달러(한화 약 33만원)에서 약 3.7배 수준으로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윤광택 시만텍코리아 CTO는 “워너크라이는 랜섬웨어와 웜이 결합된 형태로 웜의 경우 패치가 되어있지 않으면 원격으로 자동 감염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더욱 위험도가 높은 랜섬웨어이다”며, “향후 랜섬웨어와 웜이 결함된 형태의 공격이 늘어날 가능성이 많기 때문에 패치 업데이트와 소프트웨어를 최신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생활화해야 한다. 특히 이메일을 통한 랜섬웨어 공격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의심스러운 이메일은 삭제하고 중요한 파일은 미리 백업을 해두는 것이 안전하다”고 당부했다.

시만텍은 랜섬웨어에 대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보안 수칙을 권고하고 있다.

-신규 랜섬웨어 변종은 정기적으로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보안 소프트웨어를 최신 상태로 유지해야 한다.
-운영 체제(OS) 및 기타 소프트웨어를 최신 상태로 유지한다.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에는 랜섬웨어 공격자가 악용할 수 있는 새로운 보안 취약점에 대한 패치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최신 상태로 업데이트를 해둬야 한다.
-이메일은 주요 감염 경로 중 하나로 특히 의심스러운 링크 및 첨부 파일이 포함되어 있는 이메일은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매크로를 사용하여 콘텐츠를 확인하도록 유도하는 MS 오피스의 첨부 파일이 포함된 이메일은 특히 주의해야 한다. 신뢰할 수 있는 출처의 이메일이라고 확신하지 않는 이상, 매크로를 활성화하지 말고 즉시 이메일을 삭제한다.
-랜섬웨어 감염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중요한 데이터를 백업해두어야 한다.
 
이번 워너크라이 랜섬웨어와 관련해서 시만텍은 시만텍 및 노턴 보안 솔루션을 통해 워너크라이 랜섬웨어와 관련된 악성코드(Ransom.Wannacry, Ransom.CryptXXX, Trojan.Gen.8!Cloud, Trojan.Gen.2)를 탐지한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시만텍 블로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94743538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4월 2일 병원계 이모저모③]국립암센터, 일산백병원, 칠곡경북대병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한국오가논, 셀트리온, 에스바이오메딕스, 앱티스, 한국다케다제약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5월 3일 병원계 이모저모②]고려대의료원, 전북대병원, 한국원자력의학원 등 소식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대한간학회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