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한의협, KBS TV 소비자 리포트 언중위 제소 - ‘한약 간독성’문제제기 위해 엉터리 논문 인용 주장
  • 기사등록 2016-07-04 20:29:00
  • 수정 2016-07-04 20:29:53
기사수정

대한한의사협회(회장 김필건)가 지난 7월 1일 방송된 KBS TV 소비자 리포트 ‘속 모르는 한약, 속 타는 소비자’와 관련하여 언중위에 제소할 뜻을 밝혔다.

지난 7월 1일 KBS TV 소비자 리포트는 최근 모 한의원에서 당뇨치료한약을 처방한다며 양약 성분을 혼합한 사기 사건을 다뤘다.

이번에 문제가 된 개별 한의원의 행각에 대해 다루던 프로그램은 이후 이를 전체 한약에 문제가 있다는 식의 논지 전개를 위해 한약간독성문제를 지적했으며, 이 과정에서 충남대 의과대학에서 발표한 2003년부터 2008년 자료를 인용했다. 

한의협은 “해당 논문이 이미 학계에서 수차례 문제가 지적되고, 진단스케일을 만든 개발자가 스스로 문제점을 시인한 Modified RUCAM이라는 진단 툴을 이용한 자료라는 점에서 한의사협회 ‘무리한 논지 전개를 위해 엉터리 논문을 사용했다’는 문제점 지적을 피해가기 어려울 전망이다”고 주장했다.

또 “약인성 간손상 문제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RUCAM이라는 진단 툴을 사용하는데 2000년대 초중반 한국의 양의사들이 한약의 간독성 문제를 조작하기 위해 Modified RUCAM이라는 진단 툴을 만들었으나 이후 학계의 지적을 받아 해당 툴을 만든 사람조차도 문제점을 시인하는 등 세계적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진단 툴이다”며 “KBS가 인용한 충남대 의과대학 자료 역시 문제된 Modified RUCAM을 사용해 만든 자료로서 국제적으로 전혀 인정받지 못하는 엉터리 논문을 공영방송에서 한약 간독성을 무리하게 지적하기 위해 제대로 알아보지도 않고 인용한 것이다”고 덧붙였다.

특히 한의협은 “RUCAM 진단 툴을 사용한 2012년 논문에서는 한약만 복용한 환자 47명에서는 간기능이상이 발견되지 않았고 한약과 양약을 병행한 환자 256명중 6명에서는 간기능 이상이 관찰됐다는 연구 결과도 있을 정도로 간기능 이상에서 주된 원인은 양약으로 의심하는 것이 세계적으로 인정되는 관점이다. 또한 최근 모 한방병원의 대규모 연구에서도 보듯이 한약 치료 전과 후를 비교하면 오히려 간수치가 낮아지는 것이 세계 의학계에서는 상식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사실이다”며 “한의협 역시 비윤리적 의료행위로 환자들에게 사기행각을 벌인 해당 원장을 옹호할 뜻은 추호도 없고 강력한 처벌을 받길 원하며, 방송 내용 중 해당 한의원의 문제점을 고발하고 비판한 내용에 대해서는 이의를 제기할 마음이 전혀없다. 하지만 KBS 소비자 리포트는 개별 한의원의 비윤리적 행위에 대한 비판과 소비자를 위한 대안 제시에 그치지 않고 이 정도로는 자극적인 그림이 나오지 않으니 무리하게 전체 한약의 간독성 문제로 논지를 전개하였고 그 과정에서 엉터리 논문을 인용하여 한약과 한의사에 대한 왜곡을 초래했다”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한의협에 따르면 해당 방송의 인터뷰 중에서도 문제가 발생했다.

현재 대한의사협회 산하 한방대책특별위원회 임원을 맡고 있는 사람을 대학병원 교수라는 중립적 직함으로 한약을 폄훼하는 발언을 담아 그대로 방송에 내보냈다는 것.

한의협은 “정확하고 공정한 보도를 이끌어야 할 공영방송인 KBS가 한의사를 없애는 것이 목표라고 버젓이 밝히는 비상식적인 단체의 위원에 대한 인터뷰를 진행하고 대학병원 교수 직함만을 내세워 중립적인 척 발언 내용을 사용하는 것은 절대 있어서는 안될 일이다”며 “한약에 대한 전문가인 한의사들이 한약의 안전성과 유효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모니터링을 하고 그 결과를 논문 등을 통해 꾸준히 발표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처럼 잘못 설계된 논문과 권위 없는 비전문가의 의견을 모아 방송을 했다는 점이 가장 큰 문제이다”고 주장했다.

또 “앞서 밝힌 대로 환자를 상대로 사기행각을 벌인 문제 한의사에 대해서는 비판이 가해져야 하는 것이지만 이번 KBS 소비자 리포트는 이를 넘어 보다 자극적 방송을 위해 엉터리 논문을 인용하고 편향된 인사의 인터뷰를 중립적 인사의 발언으로 포장하는 등 공영방송의 가장 중요한 부분을 훼손한 것으로서 언중위 제소, 한의사 집단 소송 등 할 수 있는 모든 대응 절차를 진행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67631715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한국오가논, 셀트리온, 에스바이오메딕스, 앱티스, 한국다케다제약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셀트리온, 엔케이맥스,,한국베링거인겔하임, 한국오가논, 한올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5월 제약사 이모저모]신풍제약, 셀트리온, 제일헬스사이언스, 한독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대전선병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