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늘어난 연휴만큼 증가하는 위장질환, 그 원인과 대처는? - 과식·과음·야식 등 불규칙한 식습관과 고칼로리 음식이 원인, 적절한 대처…
  • 기사등록 2015-09-28 15:56:15
  • 수정 2015-09-28 15:57:04
기사수정

대체공휴일제 실시로 휴일이 하루 늘어난 추석연휴 덕분에 가장 바쁠 것으로 예상되는 곳이 바로 병원 응급실이다.

해마다 명절이면 오랜만에 만난 가족들과의 즐거운 시간을 보내며 함께 나눈 고칼로리의 명절 음식과 과도한 음주 등으로 인해 복통과 설사 등 위장질환 환자가 크게 증가한다. 명절 기간에 찾을 수 있는 곳이 응급실밖에 없다보니 병원 응급실마다 이런 환자가 줄을 잇는 것은 물론 명절기간이 지나도 한동안 복통, 소화불량, 설사 등 위장질환으로 병원을 찾는 이들이 많다.

이처럼 명절 연휴 동안 급증하는 위장질환은 명절 연휴동안 과식, 과음, 야식 등 평소와는 다른 식생활의 변화로 인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아직도 한 낮의 기온이 20도에 이르면서 이로 인한 식중독의 발생과 최근 급증하고 있는 명절 스트레스로 인한 주부들의 위장질환도 원인이 될 수 있다.

추석에는 모처럼 가족들과 한자리에 모여 이야기를 나누다보니 자신도 모르게 평소보다 많은 양의 음식을 섭취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섭취하는 대부분의 명절 음식이 기름지고 지방이 많은 고칼로리의 음식들이다. 이런 명절 음식을 과식하면 소화불량, 역류성 식도염, 복통, 복부팽만감, 설사 등 위장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특히 기름진 음식은 위와 식도 사이의 괄약근의 압력을 떨어뜨려 위산을 역류시키는 역할을 하고 역류된 위산에 의해 식도가 손상되는 역류성 식도염이 발생하기 쉽다.

또 우리나라 사람들이 즐겨먹는 명절음식 중에는 맵고, 짜고, 자극적인 음식이 많아서 위 점막을 자극하기 쉽고 소화에 부담을 주어 속쓰림 등을 겪기도 한다.

밤에 먹는 음식은 위산이 낮보다 적게 분비되어 소화불량이 발생하기 쉽고 위장에 큰 부담을 줄 수 있다. 늦은 시간 야식을 먹고 그대로 잠자리에 들 경우 위와 식도의 괄약근이 열리면서 식도염이나 속쓰림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명절기간동안 배가 아파서 응급실을 찾게 되는 일을 예방하려면 과식, 과음, 야식 등을 피해야 한다. 되도록 위에 부담이 덜 가는 음식 위주로 먹고 야식 섭취 후에는 가벼운 운동으로 에너지를 소모하면 소화기 질환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

영도병원 내과 김정민 과장은 “명절 전후 발생한 위장질환은 먼저 한 끼 정도 금식을 하고 충분한 수분 섭취를 통해 상태가 호전되는지 확인하고 만약 증상이 지속된다면 즉시 가까운 병원을 찾아 치료를 받아야 한다”며, “소화가 안 된다고 해서 탄산음료나 커피 등의 음료를 섭취한다거나 단순 소화불량으로 생각해 아무런 조치 없이 방치해하는 일이 없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또 “위장장애의 원인이 큰 일교차로 인해 상한 음식을 섭취해서 발생하는 식중독이나 주부들의 명절 스트레스로 인한 위장 장애일 수도 있기 때문에 증상이 지속될 경우 병원에서 자세한 진단을 받아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하다”며, “특히 주부들의 명절 스트레스로 인해 위장 장애는 약보다는 적절한 가사분담과 가족들의 위로가 주부들의 신체적ㆍ정신적 스트레스를 덜어주어 명절증후군에 의한 위장장애를 예방할 수 있다”고 조언한다.

*본 칼럼은 본지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43423275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3월 14일 병원계 이모저모②]고려대, 고신대, 서울대, 의정부을지대, 서울부민병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월 2일 병원계 이모저모③]국립암센터, 일산백병원, 칠곡경북대병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2~3월 제약사 이모저모]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 동아제약, 알피바이오, 한국아스텔라스제약, 한독 등 소식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대한간학회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