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베네토클락스+리툭시맙, 병용치료 환자 84% 임상적 반응 - 재발성/불응성 만성림프구성백혈병(CLL) 환자들의 임상적 반응에 대한 제1b…
  • 기사등록 2015-06-18 19:20:12
  • 수정 2015-06-18 19:20:50
기사수정

애브비가 BCL-2선택적 억제제인 베네토클락스와 리툭시맙의 병용요법으로 치료한 재발성/불응성 만성림프구성 백혈병(CLL) 환자의 전체반응률(ORR:overall response rate)이  84%로 나타났다(n=41/49)는 제1b상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또 환자 6명은 완전관해(CR) 내지 불완전한 골수 회복을 동반한 완전관해(CR/Cri)를 보인 후, 베네토클락스 치료를 중단했다.

환자 3명은 중앙값 12개월(0-21)동안 반응률을 유지했다. 자세한 자료는 6월 11일부터 15일까지 빈에서 개최된 제20회 유럽혈액학회(EHA)의 구연발표에서 공개되었다.

호주 로얄멜버른병원 혈액내과 및 골수이식센터 교수이자, 월터-엘리자 홀 의학연구소 임상중재분야 책임자인 앤드류 로버트 교수는 “초기 연구 결과에서 가장 흥미로운 부분은 완전관해 후 치료를 중단할 수 있었던 환자와 치료 중단 이후에도 완전관해를 계속 유지한 환자의 데이터이다. 이번 베네토클락스 병용치료 임상연구에서 보여준 반응률 결과는 해당 치료법이 환자들에게 다른 치료 옵션을 제공할 수 있고, 추가 연구 가치가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고  말했다.

만성림프구성백혈병(CLL)은 서양의 성인들에게 가장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백혈병이다.

미국의 경우 매년 새로 진단 받는 백혈병 환자 중 약 14,620명이 만성림프구성백혈병 환자이다.  

만성림프구성백혈병은 감염에 맞서는 백혈구의 일종인 림프구를 골수에서 서서히 과다 생성하는 혈액과 골수의 종양이다. 

발생 원인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연구자들은 유전적 돌연변이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애브비 종양학 임상개발 부사장 개리 고든 박사는 “애브비는  암 중에서도 치료가 특히 어려운 암 환자에게 도움이 되는 치료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베네토클락스와 리툭시맙의 병용 치료 가능성에 대해 확인한 것은 애브비의 병용 치료 연구 방법을 보여주는 일례이다”고 말했다.

한편 제1b상 글로벌, 약물공개, 다기관 연구를 통해 재발성/불응성 만성림프구성 백혈병(CLL) 환자 또는 소림프구림프종 환자를 대상으로 베네토클락스와 리툭시맙 병용 치료의 최대 내약 용량 및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2차 목표에는 약동학 및 효능에 대한 초기치료도 포함되어 있었다.

전체 환자 49명 중 전체반응률(ORR)은 84%(n=41/19)이었고 CR(6명은 불완전한 골수 회복을 동반한 완전관해(CRi)) 달성 환자는 20명(41%)이었으며, 부분관해(PR)를 달성한 환자 21명(43%)이었고, 그 중 1명은 결절성 부분관해였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34622773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한국오가논, 셀트리온, 에스바이오메딕스, 앱티스, 한국다케다제약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셀트리온, 엔케이맥스,,한국베링거인겔하임, 한국오가논, 한올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5월 제약사 이모저모]신풍제약, 셀트리온, 제일헬스사이언스, 한독 등 소식
위드헬스케어
한국화이자제약
GSK2022
한국얀센
한국MSD 202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