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농후발효유, 당류 제품별 3.8배 차이…함량 비교 후 선택 필요 - 한국소비자원‘비교공감’제2015-7 호, 농후발효유 가격-품질 비교정보 제공
  • 기사등록 2015-06-02 13:54:34
  • 수정 2015-06-02 13:55:17
기사수정

농후발효유의 영양성분제품별 차이는 있었지만 위생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의 구매율이 높은 농후발효유 12개, PB제품 2개 총 14개 제품을 대상으로 유산균수, 영양성분, 안전성, 표시실태 등을 시험·평가했다.

시험결과, 농후발효유의 당류ㆍ열량 등 영양성분이 제품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 제품 유산균수는 기준에 적합하였으며, 대장균군 등의 불검출로 위생적으로는 안전했다.
 
2-17.JPG

▲농후발효유 평균 당류 함량 : WHO 1일 섭취권고량의 29%
당류 함량이 1회제공량(150ml)당 5.79~21.95g 수준으로 평균 14.52g 함유되어 있어 WHO 1일 섭취권고량(50g)의 29.0%를 차지하였고, 특히 당이 높은 상위 4개 제품의 평균은 1일 섭취권고량의 40.2%를 차지하였다.

제품별로는 최대 3.8배 차이가 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1회제공량 당 당류 함량은 ‘블루베리의 상큼함이 살아있는 요구르트’(서울우유협동조합)가 21.95g으로 가장 높았고, ‘진심을 담은 플레인 요구르트’(㈜이마트)가 5.79g으로 가장 낮았다.

▲표시실태 : 일부 제품 영양성분 표시기준 부적합, 유산균수 표시도 미흡
14개 제품 중 3개 제품은 콜레스테롤, 열량 등 영양성분 함량의 표시가 표시기준에 부적합했다.

또 1개 제품은 특정유산균 함유 사실을 표시했지만 함유균수를 표시하지 않아, 개선이 필요하다.

▲유산균종 표시기준 개선 필요
유산균종의 표시는 제품에서 일정 수 이상 해당 균이 존재하고 과학적 방법으로 확인 후 표시하도록 하는 기준의 개선이 필요하다.

▲전제품, 대장균군 등 검출안돼 위생적으로 안전
전 제품이 대장균군,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균이 검출되지 않아 위생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농후발효유 주요 시험·평가 결과, 농후발효유 종합결과표, 농후발효유 구매가이드 등은 (http://www.medicalworldnews.co.kr/bbs/board.php?bo_table=pds&wr_id=2108&page=0&sca=&sfl=&stx=&sst=&sod=&spt=0&page=0)를 참고하면 된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33220832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한국오가논, 셀트리온, 에스바이오메딕스, 앱티스, 한국다케다제약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셀트리온, 엔케이맥스,,한국베링거인겔하임, 한국오가논, 한올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5월 제약사 이모저모]신풍제약, 셀트리온, 제일헬스사이언스, 한독 등 소식
위드헬스케어
한국화이자제약
GSK2022
한국얀센
한국MSD 202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