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길리어드사이언스코리아, 헤파토스콥 애플리케이션 출시 - 간섬유화, 간경변증의 진행단계 및 개선양상을 그래픽 자료 통해 손쉽게 이…
  • 기사등록 2015-06-02 13:17:06
  • 수정 2015-06-02 13:17:50
기사수정

길리어드사이언스코리아(대표이사 이승우)가 2일 의료전문가를 위한 아이패드 전용 애플리케이션으로서 만성 B형 간염 환자의 간섬유화 진행단계를 보여주는 헤파토스콥(Hepatoscope)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길리어드의 헤파토스콥 애플리케이션은 의료전문가가 만성 B형 간염 환자들에게 자신의 간 조직 상태 및 항바이러스제 치료를 통해 간 질환 증상이 개선되어가는 과정을 섬유화 지표별 이미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와줌으로써 적극적인 치료와 복약 순응도를 제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의료전문가는 헤파토스콥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간섬유화, 간경변, 간암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건강한 간이 변화하는 모습을 간의 형태, 간세포 표면 및 현미경으로 관찰한 간세포 조직 등 3가지 버전으로 환자진료에 활용할 수 있다.

간섬유화는 만성 B형 간염으로 인해 간세포 조직이 염증과 괴사를 반복하며 딱딱하게 굳어 기능을 상실하는 과정으로, 간경변 및 간암으로 진행될 수 있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2-22.JPG

특히 국내 만성 B형 간염 환자의 5년 누적 간경변증 발생률은 23% 가량으로, 국내 전체 간경변증 환자의 70%에서 B형 간염 표면항원이 관찰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삼성서울병원 소화기내과 최문석 교수는 “만성 B형 간염 환자의 경우, B형 간염 바이러스가 복제, 증식하는 과정에서 인체의 면역체계가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간세포를 공격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간 손상의 위험이 높다”며,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간섬유화의 진행상태를 확인하여야 하며, 꾸준한 항바이러스제 치료는 간섬유화 및 간경변증으로의 진행을 늦추고, 간암 발생의 위험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지난 2013년 란셋(Lancet) 지에 게재된 테노포비르(제품명 비리어드)의 제3상 임상연구(102, 103 연구)의 하위 분석 결과에 따르면, 테노포비르 치료를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기저시점과 치료 5년 차에 간 생검을 시행한 결과 간섬유화 및 간경변증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

즉 테노포비르 치료군 중 간 생검을 실시한 환자(N=348)의 96%의 경우 간섬유화가 더 이상 악화되지 않거나 조직학적으로 개선되었으며, 기저시점에 간경변증(Ishak score 5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던 환자의 74%(N=71/96)의 경우 5년 간의 치료 후 간섬유화 지표가 감소했다(Ishak score 5점 미만).

길리어드사이언스코리아 의학부 반준우 전무는 “과거에는 만성 B형 간염의 조직손상으로 인한 섬유화가 진행된 경우 이를 되돌릴 수 없다는 것이 교과서적인 의견이었으나, 최근 효과적인 항바이러스제 치료를 통한 손상된 간의 조직학적 개선 효과를 입증하는 대규모 연구 결과들이 발표되었다”며, “길리어드는 간 조직 손상의 진행단계 및 증상의 개선양상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헤파토스콥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임상현장에서 환자들을 치료 및 관리하는 의료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길리어드 헤파토스콥 애플리케이션은 아이패드 앱스토어(App store)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33218476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한국오가논, 셀트리온, 에스바이오메딕스, 앱티스, 한국다케다제약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셀트리온, 엔케이맥스,,한국베링거인겔하임, 한국오가논, 한올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5월 제약사 이모저모]신풍제약, 셀트리온, 제일헬스사이언스, 한독 등 소식
위드헬스케어
한국화이자제약
GSK2022
한국얀센
한국MSD 202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