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절단않고 복원한 당뇨발, 절단보다 5년 생존율 2배 높아 - 서울아산병원 성형외과 홍준표 교수팀, 9년간 121케이스 분석-연구결과 해외…
  • 기사등록 2013-03-04 12:15:57
  • 수정 2013-03-04 12:20:36
기사수정

경기도 안성 전통시장에서 채소를 파는 일을 하는 61세 김 모 할머니는 15년 동안 당뇨로 투병 중이었다. 김 할머니는 세 달에 한 번 병원에 가서 당뇨 주사약을 타다 매일 주사를 맞았지만 자꾸만 생기는 합병증과 잘 조절되지 않는 당뇨 때문에 늘 걱정이었다.

2007년 12월, 김 할머니는 겹겹이 껴 신은 양말과 털신, 조그만 전기난로로 추위를 견디며 장사를 마치고 집에 돌아와서는 따뜻한 물로 언 발을 녹였지만 며칠 지나지 않아 오른쪽 엄지발가락 사이로 물집이 잡히기 시작했다. 곧 괜찮아지겠지 하며 며칠을 버텼지만 발의 상처는 급속도로 악화되었고 근처 종합병원을 찾았지만 발의 상태가 심각해 발을 절단할 수도 있다는 충격적인 얘기를 들었다.

서둘러 김 할머니의 가족들이 알아본 결과 당뇨발을 절단하지 않고 ‘미세재건수술’로도 치료가 가능하다는 이야기를 듣고 서둘러 서울아산병원을 찾았다.
 
서울아산병원에서 김 할머니는 미세재건수술을 통해 발의 상처 난 부분을 도려내고 허벅지의 살과 피부, 혈관 등을 떼어다 붙여 발을 치료하고 수술이 끝난 후 다시 두 발로 걷기까지 가능했다. 5년이 지난 지금도 김 할머니는 당뇨를 잘 관리해 더 이상의 합병증 없이 잘 지내고 있다.  
 
이처럼 심하게 괴사된 당뇨환자의 발은 일반적으로 발을 절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당뇨발을 절단하지 않고 미세수술로 복원하면 당뇨환자의 5년 생존율을 2배 이상 높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4-11.JPG
서울아산병원 성형외과 홍준표 교수팀이 지난 2002년부터 2011년까지 121건의 상처 난 당뇨발을 허벅지 등에서 떼어낸 피부, 살, 혈관을 통째로 붙여 미세재건술로 복원한 결과 91.7%의 복원 성공률을 보였으며 수술 받은 환자들의 5년 생존율이 86.8%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특히 이번 연구를 통해 당뇨발 미세재건술 후 5년 생존율이 학계 최초로 발표됐으며, 기존 발목 이상의 당뇨발을 절단하는 치료법의 5년 생존율이 41.4%인 것에 비해 미세재건술의 5년 생존율이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홍 교수팀의 연구결과 서울아산병원에서 당뇨발 미세재건술을 받은 환자들의 연령은 평균 54.6세(최소 26세에서 최고 78세)로 총 113명의 당뇨 환자에게 121건의 수술을 진행했으며 수술 후 경과관찰 기간은 평균 53.2개월이었다.

전 세계적으로 당뇨환자의 25%가 발에 궤양이 생기고, 30초에 한 번씩 당뇨발 절단 수술이 이루어지고 있다.

보통 당뇨발로 인해 한쪽이 절단되면 2년 안에 다른 쪽까지 절단될 확률이 50%,  다리가 절단된 당뇨 환자가 5년 후에 사망할 확률이 78%에 달하는 무서운 합병증이다.

일반적으로는 당뇨발이 발생했을 때 보존적 치료를 하게 되지만 보존적 치료는 한계가 있어 결국 발을 자르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미세재건술을 이용하면 발을 절단할 필요 없이 썩은 부분을 도려낸 후 자신의 허벅지 등에서 피부, 살, 혈관 등을 통째로 떼어다 붙여 상처난 당뇨발을 치료하고 더불어 전처럼 두 발로 걸을 수 있게 된다.

또 홍준표 교수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당뇨 발 미세재건술시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도 함께 분석해 14가지의 위험요소들을 분류했다.

그 결과 환자들의 말초혈관질환 유무, 혈관 수술 과거력, 면역억제제 사용여부 등이 미세재건술의 성공 여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아산병원 성형외과 홍준표 교수
홍준표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상처난 당뇨발을 자르지 않고 미세재건수술 등으로 최대한 복원하는 것이 환자의 삶의 질 뿐 아니라 당뇨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는 방법임이 입증됐다”며 “무엇보다 당뇨 환자들은 혈당 관리뿐 아니라 합병증 교육을 정확하게 받는 것이 중요하며 매일 세심하게 자신의 발을 관찰해야 한다. 만약 작은 상처라도 발견되면 즉시 전문의를 찾아 치료받는 것이 중요하다” 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연구의 우수성을 인정받으며 국제미용성형외과학회지(Journal of Plastic, reconstructive & Aesthetic surgery) 2월 호에 게재됐다.

한편 서울아산병원 당뇨족부클리닉은 혈관외과, 정형외과, 성형외과, 재활의학과가 다학제 협진 진료를 통해 당뇨환자의 발을 관리하고 있으며, 조기 진단 및 치료를 통해 절단을 최소화하고 복원율을 높이는 등 우수한 치료 성적을 보이고 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362366926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한국오가논, 셀트리온, 에스바이오메딕스, 앱티스, 한국다케다제약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셀트리온, 엔케이맥스,,한국베링거인겔하임, 한국오가논, 한올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5월 제약사 이모저모]신풍제약, 셀트리온, 제일헬스사이언스, 한독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대전선병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