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이번엔 의사 명칭 두고 논란…“의료법 vs 국어사전” - “한의사는 의료인”vs “특정 직능을 말하는 명칭 아니다”
  • 기사등록 2015-02-27 16:50:28
  • 수정 2015-02-27 16:53:35
기사수정

의사와 한의사가 이번엔 명칭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대한의사협회는 “한의사는 의사가 아니다”는 입장이지만 대한한의사협회는 “일제 민족말살정책이 광복 이후에도 그대로 남아 생긴 것으로 특정직능을 말하는 명칭이 아니다”고 반박했다.

◆“한 번도 의료법 상 한의사를 의사라고 한 곳은 없다”
의협은 최근 기자들에게 대한 보도 안내문을 통해 한의사는 의사가 아니며, 양의사가 아니라 의료법상 표기되어 있는 의사라는 명칭을 사용해달라는 입장을 밝힌바 있다.

관련하여 지난 2월 5일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소장 최재욱)가 개최한 제42차 의료정책포럼에서도 한의사는 의사가 아니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즉 1951년 당시 국회속기록을 보면 의사에는 의사와 치의사만 있고, 한의사, 보건원, 조산원, 간호원은 의료자(현 의료인)라고 되어 있다.

 
9-7.jpg

이를 근거로 현 의료법에 의료인 순서에도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등의 순서로 되어 있고, 한 번도 의료법 상 한의사를 의사라고 한 곳은 없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의협 한 회원도 “한의사가 의사인 적은 없었다”며 “국민들도 이를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의협 “서울대의대 한의사 손에 의해 건립” 
반면 한의협은 “‘의사(醫師)’의 사전적 의미는 한의사-양의사-치과의사를 총칭하는 중립적인 단어로 일제 민족말살정책이 광복 이후에도 그대로 남아 생긴 것이다”고 주장했다.

즉 의료체계가 이원화 되어 있는 우리나라에서 한의사와 한의학은 법과 제도적인 부분은 물론 관련 명칭에서조차도 제자리를 찾지 못하고 부당한 차별을 당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한의협은 “일제강점기 이전, 우리나라에서 ‘의사’는 오늘날 한의사만을 칭하는 단어였다. 당시 대한제국 황실에서 발행한 관보(官報)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의학에 통달하여 진맥과 침, 뜸, 한약을 처방하는 자’가 바로 ‘의사’였다”고 설명했다.

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의 모태라고 할 수 있는 관립의학교가 지석영 선생(훗날 의생면허 6번)의 청원으로 설립됐으며, 이 학교의 교장으로 재임했다는 것이다.

한의협은 “현재 우리나라 양의사들이 정통성의 뿌리로 생각하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이 한의사의 손에 의해 건립되었다는 것은 참으로 흥미로운, 하지만 거의 알려지지 않은 역사적 사실이다”며 “1900년 1월, 대한제국이 추진한 근대화 개혁에서 비로소 의사규칙이 제정 공포되며, 서의(양의사)는 동의(한의사)와 구별 없이 모두 의사로 규정됐고, 궁내부 내의원에서 동의와 서의가 함께 의사로 일했고, 위생국장과 병원장은 동의가 담당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경술국치 이후, 일제의 민족말살정책이 시작되며 한의사 제도는 폐지됐고, 한의사들은 한시적인 의사자격인 의생(醫生)으로 격하됐다는 것.

이런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의사 = 양의사’, ‘의학 = 양의학’이라는 인식이 국민들 사이에 형성되어 오늘에까지 이어지게 된 것이라는 주장이다.

한의협은 “국어사전에서 ‘의사’를 찾아보면 ‘의술과 약으로 병을 치료, 진찰하는 것을 직업으로 삼는 사람. 국가시험에 합격하여 보건복지부장관의 면허를 취득하여야 한다’라고 정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7-3.jpg

즉, 의사는 양의사만을 지칭하는 고유명사가 아니라 대한민국의 의료인인 한의사와 양의사, 치과의사를 통칭하는 중립적인 단어를 뜻하고, 국어사전에는 ‘서양의 의술을 베푸는 사람’이라는 뜻의 ‘양의사’라는 단어가 분명히 존재한다는 주장이다.

한의협은 “따라서 ‘양의사’와 ‘양의학’이라는 표현은 결코 잘못된 것이 아닌 정확한 표현이며, 오히려 양의사와 양의학만을 ‘의사’와 ‘의학’으로 지칭하는 것이 틀린 표현이다”며 “‘의사 = 양의사’라는 일부 양의사와 양의사단체의 주장은 여전히 일제 민족말살정책에서 벗어나지 못한 우리 보건의료체계의 부끄러운 민낯이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한의사와 양의사’, ‘한의학과 양의학’, ‘한약과 양약’의 바른 용어 정립을 통해 한민족의 잃어버린 역사를 되찾는 계기를 마련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25023353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8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쏘시오그룹, 셀트리온, 에스티팜, 지씨셀, 한국MSD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8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ST, 메디톡스, 바이엘, 셀트리온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9월 제약사 이모저모]갈더마코리아, 한국릴리, 한국아스텔라스, 현대바이오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대전선병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