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신 medicalkorea1@daum.net
불법 마약류인 메트암페타민의 일일 평균 사용 추정량이 전년도 동일지역 평균보다 약간 증가한 것은 물론 코카인의 일일 평균 사용 추정량도 2020년도 대비 다소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가 공개한 2차 ‘하수역학 기반 신종‧불법 마약류 사용행태 조사’(2021.4월∼2022.4월)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이번 2차 조사의 주요 내용은 ▲불법 마약류 사용행태 조사 ▲인구추산법 조사 ▲결과분석 및 활용방안 연구 등이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불법 마약류 사용행태 조사
▲연 4회 ‘정기조사’+‘집중조사’ 도입
지난 1차 조사 시 전국 57개 대규모 하수처리장을 연 4회 조사하는 ‘정기조사’만 실시했지만 이번 조사에서는 전국 27개(하수처리 규모와 처리 인구수 등을 고려해 선정) 대규모 하수처리장을 연 4회 ‘정기조사’하고 지역적 특성을 반영해 산업·항만·휴양 지역 13개 하수처리장을 일주일 이상 조사하는 ‘집중조사’를 도입했다.
▲주요 검출 결과
불법 마약류와 대사체(체내에서 대사과정을 거쳐 변환된 물질) 16종에 대해 조사한 결과, 정기조사와 집중조사에서 검출된 마약류 성분의 종류와 양은 큰 차이가 없었다.
다만 집중조사 지역 중 산업·항만 지역의 메트암페타민(필로폰)과 엑스터시(MDMA) 사용 추정량이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정기조사, 27개소=메트암페타민(필로폰)은 2020년에 이어 모든 하수처리장에서 검출됐다. 이외에 엑스터시(MDMA)는 21개소, 암페타민은 17개소, 코카인은 4개소에서 검출됐다.
△집중조사, 13개소=메트암페타민은 모든 하수처리장에서, 엑스터시는 9개소, 암페타민은 8개소에서 검출됐다.
▲일일 평균 사용 추정량 분석·비교
이번 조사 결과 대표적인 불법 마약류인 메트암페타민의 일일 평균 사용 추정량은 1,000명당 약 23mg으로 전년도 동일지역 평균 약 21mg보다 약간 증가했다.
다만 이는 호주(약 730mg, ’21.8월 기준)의 약 3.1%, 유럽연합(약 56mg*, ’21년 기준)의 약 41% 수준이었다.
또 코카인의 일일 평균 사용 추정량은 1,000명당 약 0.6mg으로 2020년의 1,000명당 약 0.3mg보다 다소 증가했다.
다만 호주(약 400mg, ’21.8월 기준), 유럽연합(약 273mg*, ’21년 기준 :24개국 76개 도시 평균)과 비교하면 매우 낮은 수준으로 조사됐다.
◆인구추산법 조사
▲1차 조사
지난 1차 조사에서는 정기조사 대상인 대규모 하수처리장 주변 지역에 대한 적정한 인구추산법은 ‘상주인구’로 조사됐다.
▲2차 조사
이번 2차 조사에서는 집중조사 대상인 산업·항만·휴양 지역에 대한 적정한 인구추산법은 ‘실제하수처리인구’로 조사됐다.
‘상주인구’는 1, 2차 정기조사 대상에서, ‘실제하수처리인구’는 집중조사에서 일일 평균 사용 추정량 분석 등 불법 마약류 사용행태 조사에 적용됐다.
▲3차 조사
다음 3차 조사에서는 중·소도시와 소규모 하수처리시설 인근 지역의 특성에 적합한 인구추산법을 연구하고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식약처는 “향후 보다 정확한 불법 마약류 사용량 추정을 위해 지역별 특성과 시기 등을 세분화하고, 이를 반영한 인구추산법에 대한 연구도 지속해 불법 마약류 사용행태 조사기법으로 활용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결과분석 및 활용방안 연구
식약처는 이번 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누리집을 구축해 마약류 수사·단속 기관에 제공하고, 대국민 홍보에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호주에서는 국가 차원의 하수역학 기반 마약류 분석 결과를 ▲불법 약물 공급 차단 ▲수사·단속 대상 물질과 지역 선정 등에 활용하고 있으며, 유럽연합은 유럽 마약·마약중독모니터링센터(EMCDDA)를 주축으로 하수역학 기반 마약류 분석을 상시 운영해 인구 단위 마약류 사용 지표로 활용하고 있다.
식약처 마약안전기획관 마약정책과는 “이번 조사결과가 마약류 사용에 국민의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국내 마약류 관련 기관들이 마약류 관련 조사·단속과 예방·홍보 등의 정책을 수립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다음 조사에서도 정기조사를 계속 추진해 데이터를 축적하고, 결과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마약류 수사·단속 관계기관과 협의해 집중조사가 필요한 지역에 대한 조사를 추가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이어 “앞으로도 이 사업이 국내 마약류 조사 체계의 한 축을 담당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조사를 수행해 과학적이고 통계적인 마약류 안전관리 체계를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조사는 하수처리장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잔류 마약류의 종류와 양을 분석하고 하수유량과 하수 채집지역 내 인구수 등을 고려하여 인구 대비 마약류 사용량을 추정하는 방법, 다만 검출된 마약류가 전량 인체로부터 배출된 것으로 가정해서 진행하는 것이다.
식약처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생활 속 마약류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국내에서 사용‧유통되고 있는 마약류 사용추세를 파악할 목적으로 2020년 4월(1차)부터 하수역학 기반 마약류 조사를 시행하고 있다.
폐기된 마약류의 하수 유입 가능성, 강우량 등의 변수로 일부 한계가 있지만 수사·단속기관의 적발 외에 실제 사용되는 마약류의 종류 등을 파악하는 방법으로 의의가 있어 호주와 유럽연합 등에서도 활용 중인 조사기법이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