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시중 주류 80% 이상 과음 경고문구 표시 위반, 처벌 없어 무용지물 - 음주후진국 대한민국, 주류 판촉물 광고는 실태파악도 안 돼
  • 기사등록 2017-10-21 16:44:10
  • 수정 2017-10-21 16:44:30
기사수정

세계 각국은 주류소비와 음주폐해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규제 정책을 펼치고 있는데 반해 우리나라는 실태파악 조차 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16일 진행된 한국건강증진개발원 국정감사에서 남인순 의원(더불어민주당, 보건복지위·서울송파병)은 “음주로 인한 사회·경제적비용은 계속 올라가고, 음주운전·주취범죄의 온상이 되어가고 있는 대한민국은 음주후진국이다”며, “이에 대해 보건복지부와 건강증진개발원은 음주규제 정책에 손을 놓고 있는 것이냐.”고 질타했다.
0-5.jpg

실제 음식점 등에서 광범위한 주류 판촉이 이루어지고, 편의점에서는 주류가 일반 음료와 함께 진열되어 있는 등 생활 속에서 주류에 대한 접근이 매우 쉽고, 특히 아동·청소년에게 무분별하게 주류광고가 노출되고 있다.

그러나 주류판촉에 대한 현황 파악도 되지 않고, 주류 판촉에 대한 규제도 전무하다.

보건복지부가 남인순 의원에 제출한 국정감사 ‘주류용기의 과음경고표기 위반현황’에 따르면, 2016년 주류 200종을 대상으로 표기방법 위반여부(중복위반) 중 162종(81.0%)은 면적표기 위반, 88종(44%)은 표시위치 위반으로, 시판 주류의 80%가 표시기준을 위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증진사업을 수행하는 건강증진개발원에는 ‘금연’전담센터가 있지만 ‘절주’는 팀 단위로 인원도 9명뿐이며, 최근 3년간 ‘절주’관련 연구용역은 단 1건(3,800만 원), 실태현황조사 0건, 규제관련사업 3건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음주규제 사업예산은 약 8억 원으로 금연사업 예산 약 73억 원의 11%였으며, 최근 3년간 음주관련 연구용역 및 실태조사는 1건(3,800만원)으로 흡연연구용역 예산의 5.3% 수준으로 금연 정책과 큰 차이를 보였다.

남 의원은 정기혜 한국건강증진개발원장에게 “음주로 인한 피해는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데, ‘리스타트 트럭’이라는 전국을 유람하는 캠페인만 할 뿐 실질적인 규제강화 노력은 없다”며, “음주 실태조사를 실시해서 현황을 파악하고, 연구용역 늘려서 근거를 마련할 것”을 주문했다.

또 “주류 판촉 규제를 만들고 주류광고 규제를 강화해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며, “과음 경고문구 표시 위반에 대한 처벌조항을 만들고, 주류 접근용이성, 주류광고 등 음주규제에 대해서 해외국가의 사례 등을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벤치마킹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보건복지부 건강정책국장은 “민간 협의체를 구축하고 법령개선을 통해 제도 개선에 힘쓰겠다”고 약속했다.

남 의원은 실제로 음식점에서 사용되고 있는 주류 판촉물인 물병, 시중 판매되는 주류와 음료를 준비해 직접 보여주며 비교해 보기도 했다.

한편 주류 200종 중 표기방법 위반여부 현황, 흡연, 음주규제 관련 사업 소모비용, 최근 3년간 실태조사(설문조사) 현황, 최근 3년간 연구용역 및 실태조사 현황 중 흡연·금연 부분은 (http://medicalworldnews.co.kr/bbs/board.php?bo_table=pds&wr_id=3686&page=0&sca=&sfl=&stx=&sst=&sod=&spt=0&page=0)를 참고하면 된다.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08504691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3월 제약사 이모저모]에스티팜, 한국다케다제약, 한국팜비오, 헤일리온 코리아, 한국MSD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월 2일 병원계 이모저모③]국립암센터, 일산백병원, 칠곡경북대병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3월 제약사 이모저모]레졸루트, 셀트리온, 한국아스트라제네카, 한국오가논 등 소식
위드헬스케어
한국화이자제약
GSK2022
한국얀센
한국MSD 202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