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안전상비의약품, 편의점 판매 후 의약품부작용 증가 - 최근 5년간 안전상비의약품 부작용 보고 244건 증가, A소화제 의약품부작용…
  • 기사등록 2017-10-10 23:34:32
  • 수정 2017-10-10 23:37:23
기사수정

지난 2012년 국민들의 의약품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실시했던 ‘안전상비의약품의 편의점 판매’가 오히려 국민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2012년부터 2016년까지 편의점 등에서 판매할 수 있도록 한 안전상비의약품 13종에 대한 공급량과 부작용 보고결과를 종합 분석한 결과, 편의점 공급량은 2012년 194만개에서 2016년 1,956만개로 1,762개 증가한 반면, 약국의 공급량은 2012년 59만개에서 2016년 50만개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이 기간 동안 안전상비의약품 13종에 대한 부작용 보고건수가 증가했다는 것이다. 안전상비의약품 13종에 대한 부작용 보고건수가 2012년 124건에서 2016년 368건으로 244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표] 안전상비약 13종 공급량 및 부작용 보고현황
0-2.jpg

개별의약품 별로 살펴보면, 소화제로 유명한 A안전상비의약품의 경우, 편의점 공급량이 2012년 147,737개에서 2016년 718,487개로 570,750개 증가하는 동안 부작용 보고는 2012년 3건에서 2016년 110건으로 107건(36.6배)이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0-3.jpg

또 해열진통제로 유명한 B안전상비의약품의 경우도, 편의점 공급량이 2012년 344,519개에서 2016년 5,959,028개로 5,614,509개 증가하는 동안 부작용 보고는 2012년 55건에서 2016년 107건으로 52건(1.9배)이나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0-4.jpg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정춘숙 의원(더불어민주당)은 “이명박 정부시절 국민의 의약품 접근성을 늘리겠다며 도입한 ‘안전상비의약품의 편의점 판매’가 오히려 국민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의 건강을 위협하면서까지 의약품의 접근성을 늘려야했는지,  진정 누구를 위한 정책이었는지 되묻지 않을 수가 없다. 국민의 건강을 위해 하루 빨리 개선해야 한다”며, “지금처럼 의약품 비전문가인 편의점 주인 또는 아르바이트생들에게 의약품판매를 맡기기보다는 의약품 전문가인 약사들이 심야 또는 공휴일에도 약구에서 의약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공공약국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각 시군구에 심야약국과 공휴일약국을 각1개소씩 설치할 경우로 비용추계한 결과, 연평균278억원(시군구당 약1.1억원)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정으로 국민의 건강을 위한 정책이 무엇인지에 대해 국민의 건강을 책임지고 있는 보건복지부가 깊이 고민하여 조속한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0-5.jpg

한편 안전상비약 13종 공급량 및 부작용 보고현황은 (http://medicalworldnews.co.kr/bbs/board.php?bo_table=pds&wr_id=3660&page=0&sca=&sfl=&stx=&sst=&sod=&spt=0&page=0)를 참고하면 된다.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07646072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2~3월 제약사 이모저모]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 동아제약, 알피바이오, 한국아스텔라스제약, 한독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2~3월 제약사 이모저모]셀트리온, 알피바이오, 한국 노보 노디스크제약, 한올바이오파마, 티움바이오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2월 제약사 이모저모]동화약품, 한국다케다제약, 한국팜비오, GC셀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대전선병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