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최근 5년 식중독 사회적 비용 2조 8천억…경기도 최다발생 - 원인균 ‘병원성 대장균’ 1위, 원인 규명율 55.6%로 매우 낮아
  • 기사등록 2017-10-09 20:41:08
  • 수정 2017-10-09 20:43:03
기사수정

최근 5년 간(2012~2017.8) 식중독이 1,834건 발생해 3만 5,144명의 환자가 중독됐고, 식중독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은 2조 8,000억원으로 조사됐다.

보건복지위원회 인재근 의원(더불어민주당, 서울 도봉갑)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식중독 발생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이 자료를 연도별로 보면 2012년 6,058명(226건), 2013년 4,958명(235건), 2014년 7,466명(349건), 2015년 5,981명(330건), 2016년 7,162명(339건), 2017년 8월 기준 3,519명(255건)의 식중독 환자가 발생했다.

지역별 발생현황을 보면, 경기도가 8,242명(476건), 서울 5,759명(200건), 인천 3,349명(122건), 충남 2,4696명(140건), 강원 2,295명(103건) 순으로 많았다.

반면 세종 264명(20건), 대전 390명(45건), 광주 584명(41건)은 비교적 낮게 발생했다.

시설별 환자수 발생현황을 보면, 학교가 1만 9,374명으로 46.0%를 차지했고, 음식점 9,006명(25.6%), 기업체 등 3,209명(9.1%), 가정집 160명(2.2%) 순으로 많았다. 반면 시설별 발생건수는 음식점이 1,068건으로 전체의 58.2%를 차지했다.

식중독 환자의 원인균은 병원성 대장균이 10,978명으로 31.9%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발생건수로는 289건으로 16.0%가 감염된 노로바이러스의 비율이 높았다. 하지만 식약처의 역학조사에도 불구하고 식중독균이 불검출된 경우가 44.0%인 784건에 달했다.

우리나라의 식중독 원인 규명율은 2012년 51.5%에서 2013년 61.7%, 2014년 55%, 2015년 56.4%, 2016년 55.6%로 선진국과 비교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2015년기준) 일본은 97.4%, 미국 76.8%, EU 66.5%의 원인 규명율을 보였다.

시설유형별 원인 규명율을 보면, 음식점이 45.4%로 가장 낮았고, 집단급식소의 경우 학교는 2012년 92.6%에서 2016년 86.1%로 낮아지는 추세를 보였고, 기업체 등은 2012년 77.8%에서 2016년 90.6%로 원인 규명율이 높아졌다.

인재근 의원은 “식중독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이 2조 8,000억원에 달한다”며, “원인을 알아야 예방도 할 수 있다. 식중독의 원인 규명율을 높여 실효성 있는 예방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최근 5년간 식중독 발생현황, 최근 5년간 지역별 식중독 발생현황, 최근 5년간 지역별 식중독 발생현황, 최근 5년간 시설별 식중독 원인 규명율, 최근 5년간 주요국 식중독 원인 규명율, 최근 5년간 시설(유형)별 식중독 원인 규명율은 (http://medicalworldnews.co.kr/bbs/board.php?bo_table=pds&wr_id=3659&page=0&sca=&sfl=&stx=&sst=&sod=&spt=0&page=0)를 참고하면 된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07549268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4월 2일 병원계 이모저모③]국립암센터, 일산백병원, 칠곡경북대병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ST, 바이엘 코리아, 한국머크, 한국BMS제약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월 제약사 이모저모]바이엘, 한국노바티스, 한국아스텔라스제약, 한올바이오파마 등 소식
위드헬스케어
한국화이자제약
GSK2022
한국얀센
한국MSD 202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