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용혈성 요독성 증후군이란?
  • 기사등록 2017-07-10 17:05:04
  • 수정 2017-07-10 17:06:12
기사수정

용혈성 요독성 증후군(Hemolytic uremic syndrome, HUS)이란 혈관내피세포의 손상에서 기인하는 혈전성 미세혈관병증의 일환이다.

강남세브란스병원 신장내과 김현욱 교수의 도움말로 용혈성 요독성 증후군에 대해 알아본다.

이 중 산발적으로 생기거나 유전적 원인을 갖는 소수의 비전형적 용혈성 요독성 증후군을 제외한 나머지 90%를 ‘전형적’인 용혈성 요독성 증후군으로 분류한다. 

이 증후군의 시작은 특정 독소를 분비하는 장출혈성대장균에 의한 감염이며, 이 균은 일반적으로 도축용 소의 장내균에서 유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균에 오염됐지만 적절하게 익혀지지 않은 각종 고기들 및 관련 가공식품들뿐 아니라 오염된 물, 우유, 채소를 통해서도 전파될 수 있다.

하지만 오염된 음식을 먹었다고 해서 모두 장염으로 진행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무증상 보균상태의 사람의 분변을 통해 다른 사람으로 전파될 수도 있다. 

이 세균 및 독소에 취약하여 감염이 발생하는 경우 오염원에 노출 후 평균 3.7일(범위: 2~12일)이 경과하면 복통 및 설사가 시작된다.

곧이어 2/3 이상에서 혈변, 오심, 구토 등이 동반되는 출혈성 장염 소견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장염 증상 시작 후 평균 7일(범위 2~15일)이 경과한 후에 이들 중 약 15%(범위: 8~18%)에서는 ▲30,000개/μL 전후(범위: 20,000~100,000개/μL)에 이르는 혈소판의 감소 ▲부종, 핍뇨 및 요독증의 악화를 동반하는 신부전 ▲미세혈관병 용혈성 빈혈 등의 임상적 특징을 가지는 용혈성 요독성 증후군으로 결국 진행하게 된다.

5세 미만의 소아이거나 고령인 경우 용혈성 요독성 증후군으로 진행할 수 있는 위험 인자로 알려져 있으며, 일단 용혈성 요독성 증후군이 발현된 환자의 50%에서는 투석치료가 불가피할 뿐 아니라 수혈치료가 필요한 경우도 드물지 않다. 

하지만 일정 규모 이상의 병원에서 치료를 받는 경우 전체적인 사망률은 최근 5% 미만으로 양호한 편이며 신부전의 경과도 2~3주간의 투석치료를 포함한 보존적 치료 중 많은 경우  투석치료의 중단이 가능하다.

약 5%는 영구적인 신장기능 손상으로 투석치료의 지속이 필요할 수 있으며, 약 30% 환자들은 투석치료가 지속적으로 필요하지는 않지만 어느 정도의 신기능 저하현상은  지속된다.

즉 50~60%의 환자들에서는 신장기능의 완전회복을 기대할 수 있다.

원인 장출혈성대장균의 확인을 위해 분변과 소변을 통한 PCR법이나 배양검사 및 혈청 항체  검사 등을 조속히 시행해야 하며 전형적인 임상양상을 참고하여 진단할 수 있다.

분변검사의 경우에는 설사 초기에 시행할수록 진단율이 높고, 일주일 이후에는 검출율이 30% 전후로 감소된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99673904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1월 30일 병원계 이모저모③]보라매, 삼성서울, 자생한방병원, 한국원자력의학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2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제약, 메디톡스, 한국머크, 한국오가논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2월 제약사 이모저모]사노피, 삼성바이오에피스, 헤일리온, 한국화이자제약 등 소식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대한간학회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