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노인 고관절 환자 수술 예후 예측 도구 개발 - 분당서울대병원 노인의료센터 김광일, 정형외과 이영균, 구경회 연구팀
  • 기사등록 2017-04-03 13:22:48
  • 수정 2017-04-03 13:24:25
기사수정

노인 고관절 환자의 수술 예후를 예측하는 도구가 개발됐다.

분당서울대병원 노인병내과(김광일 교수, 최정연 임상강사)와 정형외과(이영균, 구경회 교수) 연구팀은 지난 2009년 3월부터 2014년 5월까지 고관절 골절로 수술을 받은 65세 이상 노인 48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노인 포괄 평가’를 ‘노인 고관절 다면적 노쇠평가 지표’로 변환해 분석했다.

그 결과 고위험군으로 분류된 노인은 저위험군에 속한 노인에 비해 수술 후 6개월 내에 사망할 확률이 약 3배 이상 높았고, 입원 기간이 더 길었을 뿐 아니라 입원기간 중 합병증 발생 위험도 높았다.
3-4.jpg
(그래프)위험도에 따른 수술후 생존률 차이

‘노인 고관절 다면적 노쇠평가 지표’는 영양 상태나 동반질환, 수술 전 보행 능력, 정신 기능, 치매 여부, 낙상 위험도 등의 8가지 항목을 측정했으며, 항목별로 최저 0점에서 최고 2점까지로 평가했다(최고점은 14점으로, 성별과 낙상위험도 2개 지표의 최고 점수는 1점이었음).

점수의 총합이 9점 이상인 환자는 고위험군으로, 8점 이하의 점수를 받은 환자는 저위험군으로 분류됐다.
3-5.jpg
(그래프)노인 고관절 다면적 노쇠평가 지표에 따른 예후 비교

이번 연구와 관련해 김광일 교수는 “고관절 골절 수술 전후에 면밀한 체크와 재활이 필요한 환자를 객관적 지표로 선별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며, “위험도에 따라 환자의 예후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면 환자의 상태가 더 적절히 관리될 수 있음은 물론 사회적 의료비용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네이쳐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의 최신호에 게재됐다.

한편 노년층의 건강에 가장 큰 위협 중 하나로 ‘운동 부족’을 들 수 있다. 노화에 따른 퇴행성 질환이 증가함에 따라 운동량이 줄어들고, 이것이 다시 퇴행성 질환을 악화시키는 악순환이 반복되곤 한다.

특히 계단에서 넘어지거나 빙판길에 미끄러지는 등의 사고로 고관절이 골절되는 노인 환자들이 많은데, 수술 후 일어나지 못한 채로 건강이 급격히 나빠지는 경우가 많아 주의가 필요하다.

실제로 50세 이상 여성의 12%, 남성의 5%는 일생 동안 한 번 이상 고관절 골절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고, 이 경우 일상생활 복귀가 어려워지는 데다 기대 수명이 2년 정도 감소하며 요양기관 등 시설에 입소하게 되는 경우도 50%가 넘는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문제는 어떤 환자의 경우 나이가 아주 많은 고령 환자임에도 수술 후 정상 생활로 복귀할 수 있을 정도로 회복이 잘 되는 반면, 비교적 연령이 높지 않고 건강했던 환자임에도 고관절 수술 후 건강상태가 급격히 악화되는 경우도 있어 수술을 시행해도 되는지 여부를 객관적으로 판단하기가 어려웠다는 점이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91193368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2~3월 제약사 이모저모]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 동아제약, 알피바이오, 한국아스텔라스제약, 한독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2~3월 제약사 이모저모]셀트리온, 알피바이오, 한국 노보 노디스크제약, 한올바이오파마, 티움바이오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2월 제약사 이모저모]동화약품, 한국다케다제약, 한국팜비오, GC셀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대전선병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