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겨울철 60세 이상 폐렴환자 5년 새 37% 증가…감기인줄 알았는데 폐렴? - 강동경희대병원 호흡기센터 “환자 밀착관리 및 폐 중증질환 패스트 트랙 …
  • 기사등록 2017-01-18 00:52:32
  • 수정 2017-01-18 00:54:17
기사수정

독감(인플루엔자) 발병이 연일 최고치를 기록하다 잠시 주춤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개인위생을 주의하며 예방이 필요하다는 것이 보건당국의 입장이다.

습도가 특히 낮은 겨울철은 인체의 바이러스 침입으로부터 취약한 계절이다.
 
바이러스는 습도가 낮고 건조한 공기에서 더욱 활발하기 때문이다. 적절한 때에 치료를 받지 못하면 2차적으로 폐렴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으로까지 번질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폐렴 환자 5년 새 약 37% 증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60세 이상 폐렴 환자 수는 2011년 24만5,370명에서 2015년 33만5,356명으로 5년 새 약 37% 증가했다.

또 최근 5년 간 계절별로 통계를 분석한 결과 60세 이상 폐렴 환자 수는 봄(30%), 겨울(29%), 가을(21%), 여름(19%) 순으로 많았다.

강동경희대병원 호흡기내과 최천웅 교수는 “폐렴 초기에는 발열, 오한, 기침, 가래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데 감기라고 생각하고 대수롭지 않게 여기기 쉽다”며, “그러나 고열이 있고 기침, 누런 가래가 일주일 이상 지속된다면 폐렴을 의심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폐렴은 세균, 바이러스, 마이코플라스마, 곰팡이 등에 의해 기관지 및 폐에 발생하는 염증성 호흡기 질환이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65세 이상 고령인 경우 폐렴이 또 다른 합병증(패혈증, 호흡곤란, 폐농양 등)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치료가 필요하다.

원인균에 따라 치료법도 달라
폐렴 치료는 원인균 종류에 따라 치료법이 다르다. 원인균에 따른 항생제의 선택이 중요하지만, 많은 경우 원인균을 알 수 없고 원인균이 배양되었다하더라도 균이 동정되기까지는 3일 이상의 기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폐렴이 의심되는 환자에게 우선적으로 경험적 항생제 요법을 시작한다. 항생제 외에도 수분 공급, 충분한 칼로리와 영양보충이 필요하며 40℃ 이상인 경우 해열제를 함께 사용하기도 한다.

특히 65세 이상은 미리 폐렴구균백신 접종을 통한 예방도 필요하다.

최천웅 교수는 “폐렴구균백신을 접종할 경우 만성질환자는 65~84%의 예방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미접종자와 비교하여 치사율 또는 중환자실 입원율이 무려 40%나 감소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며, “폐렴구균백신은 1회 접종만으로도 효과가 나타나며, 접종 전 담당 주치의와 상담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한편, 강동경희대병원 호흡기센터는 호흡기내과, 흉부외과, 혈액종양내과, 영상의학과 등의 교수들이 한 공간에 모여 환자의 진단 및 치료계획을 논의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또 전문 코디네이터를 도입함으로써 환자들이 보다 편하고 원활한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밀착관리와 맞춤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특히 폐암 중증환자에 대한 치료와 수술 결정을 3~4일 이내 신속하고 정확하게 실시하는 패스트 트랙을 운영하여 환자 치료 향상을 위한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호흡기 질환 예방법]
1. 가급적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 피하기
2. 야외활동 후에는 반드시 손 씻기
3. 구강청결 신경쓰기
4. 노인이나 소아의 경우 체온조절 기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목요 후 재빨리 물기 닦아내기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84668353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1월 23일 병원계 이모저모①]고려대, 강동경희대, 일산백, 부민병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1월 30일 병원계 이모저모③]보라매, 삼성서울, 자생한방병원, 한국원자력의학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2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제약, 메디톡스, 한국머크, 한국오가논 등 소식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대한간학회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