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국내 5070 여성 3명 중 1명만 골밀도 검사, 꾸준히 치료받는 환자 극소수 - 국내 골다공증 치료 환경 최대 문제점은? - ‘초고령화사회 건강선순환 구축을 위한 골다공증 정책과제’ 발간
  • 기사등록 2020-10-11 00:30:49
기사수정

국내 5070 여성 3명 중 1명만 골밀도 검사를 받고, 꾸준히 치료를 받는 환자는 극소수로 조사됐다.
대한골대사학회(회장 이장희, 이사장 김덕윤)가 2018년 핵심 유병인구인 5070 여성 인구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이같이 확인됐다.
[그림] 5070 일반인 여성 1000명 대상 설문조사 결과 골다공증 관리 실태
(대한골대사학회, 2018)

◆골다공증 저조한 치료율, 골다공증 발생 위험 증가로 이어져 
골다공증의 저조한 치료율은 골다공증 발생 위험 증가로 이어진다.
골다공증성 골절은 2008년 17만 건에서 2016년에는 27만 건으로 50% 증가했으며, 가장 빈번하게 골절이 발생하는 부위인 척추 골절은 2016년부터 향후 2025년까지 남성이 63%, 여성이 51% 증가해 각각 3만 건 이상, 12만 건 이상씩 발생할 것으로 예측된다. 


◆골다공증 방치시…한국 사회 전체 비용 부담+건강수명 단축 
대한골대사학회는 ‘초고령사회 건강선순환 구축을 위한 골다공증 정책과제’를 통해 “골다공증을 방치하면 노인 인구의 취약성 골절로 이어져, 고령자의 기동력 상실로 부양 부담이 증가하고, 결국 한국 사회 전체의 비용으로 돌아온다”고 지적했다.
또 골다공증 골절이 발생하면 정부의 재정 수익 감소와 세수(稅收) 손실에 까지도 영향이 생길 뿐 아니라 골다공증의 질환 특성상, 질병부담(DALYs)의 측면으로 평가한 경우 골다공증이 당뇨병보다 건강수명을 더 단축시킨다고 지적했다.


◆50~80세 고관절 골절 발생시…연금 지출 7천만원 증가vs. 세금 수익 5,300만원 감소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50~80세 인구에서 골다공증으로 인한 고관절 골절이 1건 발생할 때마다 골절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해 정부의 연금 지출은 평균 7,000만원이 증가하고, 세금 수익은 평균 5,300만원이 감소했다.
우리나라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 데이터를 토대로 장애보정생존년수(DALY)를 산출한 결과 골다공증과 골다공증 골절은 주요 만성질환인 당뇨병 및 천식과 비교해 질병부담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골다공증 치료 환경 극복 방안은? 
대한골대사학회는 ‘초고령사회 건강선순환 구축을 위한 골다공증 정책과제’에서 우리나라 골다공증 치료 환경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낮은 질환 인지도와 치료율, ▲지속 치료를 어렵게 만드는 제한적인 약제 급여 기준, ▲골다공증 골절의 악화를 막지 못하는 통합적 관리 시스템의 부재를 꼽았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골다공증 및 골다공증 골절 심각성에 대한 대국민 인식 제고 ▲급여기준상 투여기간의 개선을 통한 골다공증 지속 치료 환경 조성 ▲진단에서 재골절 방지를 아우르는 단계별 골절 예방 통합 치료 시스템 구축을 제시하며, 국가적 차원의 대책 마련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초고령사회 건강선순환 구축을 위한 골다공증 정책과제’ 발간
대한골대사학회는 국회보건복지위원회 전봉민(국민의힘, 부산 수영구)의원과 공동으로 ‘초고령사회 건강선순환 구축을 위한 골다공증 정책과제’를 발간했다.
‘초고령사회 건강선순환 구축을 위한 골다공증 정책과제’는 △골다공증의 개요 △초고령화 사회와 골다공증 △우리나라 골다공증 관리의 문제점 △제외국 정부의 골다공증 관리 정책 사례 △골다공증 치료 환경 혁신을 위한 정책 제언의 총 5장으로 구성됐다.
대한골대사학회 김덕윤 이사장은 “한국 사회가 오는 2025년경에 65세 이상 노인이 전체 인구의 20%를 넘는 초고령 사회가 되면 대표적인 노인 만성질환인 골다공증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부담이 크게 늘어나, 고령자의 취약성 골절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할 수 있다”며, “국가 차원에서 적극적인 골다공증 ‘방역’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초고령사회 건강선순환 구축을 위한 골다공증 정책과제’에 따르면 2019년을 기준으로 우리나라 골다공증 환자는 100만 명에 육박한 상황이다.
골다공증 유병률은 노인 인구에 집중되어 있어 (70대 이상 여성 골다공증 유병률 68.5%) 우리나라에서 가장 인구가 많이 집중된 연령층인 베이비 부머 세대(1955년~1963년)의 노인 인구 진입이 본격화되면 골다공증 환자 수는 더 크게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현재 우리나라의 골다공증 유병률은 50세 이상에서 22.4%, 골감소증은 47.9%로 나타나 이미 많은 숫자의 인구가 골다공증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38085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대한근거기반의학회, 본격 창립…발기인대회 및 창립총회 개최
  •  기사 이미지 대한당뇨병학회-이종성 의원실, 정책토론회 개최
  •  기사 이미지 심장종양학연구회 “심장-종양, 임상현장 이해도 증진 실질적 효과 확인”
대한골대사학회
대한두경부외과학회
대한비만연구의사회
위드헬스케어
캐논메디칼
올림푸스한국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