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GSK, 아보다트 출시 10주년 핵심 키워드 ‘효과, 내약성, 비용’ - 10년간의 탈모 빅데이터 분석결과와 한국인 대상 주요 임상 결과 및 가치 공…
  • 기사등록 2019-08-22 01:14:23
기사수정

GSK 아보다트(성분명: 두타스테리드)가 올해로 출시 10주년을 맞이한 가운데 핵심 키워드는 ‘효과, 내약성, 비용’으로 나타났다. 

GSK(한국법인 사장 줄리엔 샘슨)는 지난 20일 서울 더 플라자호텔에서 아보다트 출시 10주년을 기념해 ‘한국인의 탈모, 그리고 아보다트의 10년’이라는 주제의 기자간담회를 통해 10년간의 탈모 빅데이터 분석결과와 한국인 대상 주요 임상 결과 및 가치를 소개했다.


◆10년간 탈모 관련 버즈량 405% 급증

이번 행사에서는 10년간의 탈모 관련 온라인 빅데이터 분석 결과가 발표됐다. GSK가 남성형 탈모 치료제를 대표해 10년간의 한국인 탈모 트렌드와 탈모 치료제에 대한 환자들의 관심도 변화 등을 살펴보기 위해 빅데이터 전문 기업 링크브릭스에 데이터 분석을 의뢰했다.

이번 분석에는 2009년부터 2018년까지 10년간의 탈모 커뮤니티, 주요 포털(네이버, 구글), 소셜미디어(트위터, 인스타그램) 채널 내 온라인 빅데이터가 포함됐다.

빅데이터 발표를 맡은 링크브릭스 김상규(사진 오른쪽) 대표는 “2009년부터 2018년까지 10년간 탈모 관련 버즈량은 405% 급증했다. 이는 동기 대비 15%p 증가한 인터넷 이용률 수치를 감안하더라도 폭발적으로 성장한 수치이다”고 말했다.

또 “탈모 관련 주요 키워드를 살펴보면, 과거 5년 대비 최근 5년에서 M자형 탈모 등 구체적인 탈모 유형을 나타내는 키워드들의 버즈량이 크게 상승했고, 비용에 관한 비중도 3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는 지난 10년간 소비자들의 탈모 치료에 대한 이해와 지식, 그리고 비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한 것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M자형 탈모, 모발 수, 굵기 등 개선 재확인 

아주대병원 피부과 최지웅(사진 왼쪽) 교수는 아보다트의 국내 탈모 치료 적응증 허가 기반이 된 한국인 대상 3상 임상시험 결과를 되짚어보고, 10년 동안 처방되어온 아보다트의 임상적 효과들을 소개했다.

아보다트는 18세에서 49세의 한국인 남성형 탈모 환자 153명을 대상으로 6개월 동안 위약과 유효성, 안전성 및 내약성을 비교 평가한 결과, 6개월째 모발 개수 개선 평가에서 12.2cm2 증가한 모발 수를 보이며, 위약(4.7cm2) 대비 유의하게 높은 효과를 보였다(P = 0.0319). 또 환자 자체평가와 조사자 및 패널 사진 평가에서도 위약군 대비 유의하게 높은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이상반응 발생에서 두 그룹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 .4171, P = .5799). 성기능 관련 이상반응 발생 역시 두타스테리드 복용군 73명 중 3명(4.1%), 위약 복용군 75명 중 2명(2.7%)으로 나타나 두 그룹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최지웅 교수는 “아보다트는 한국인 대상 임상뿐 아니라 다국적 임상을 통해 대조군 대비 M자형 탈모와 모발 수 및 굵기 개선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효과와 내약성을 나타냈다”며, “이는 10년간의 임상 경험을 통해서도 일관성 있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어 더 의미가 크다”고 밝혔다.


GSK 마케팅팀 황범순 과장은 “아보다트가 한국에서 처음으로 국내 임상을 통해 탈모 치료로 적응증을 추가해 시판되기 시작했으며, 위약뿐 아니라 피나스테리드 제제와의 직접 비교 임상을 통해 우수한 효과와 내약성을 확인했다는 점에 대해 큰 자부심 느낀다”며, “아보다트가 임상적 효과뿐 아니라 경쟁력 있는 약가, 폭넓은 연령대에 처방이 가능한 점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는 만큼 향후에도 아보다트의 우수성을 적극적으로 알릴 수 있는 활동들을 전개해 나갈 것이다"고 말했다.

한편 아보다트는 두타스테리드 제제의 오리지널 남성형 탈모 치료제로, 2009년 국내에서 최초로 남성형 탈모 치료에 적응증을 추가해 올해로 10년동안 처방되어 왔다. 아보다트는 다수의 임상을 통해 피나스테리드 대비 M자형 탈모 개선과 모발 수 및 굵기 개선 등에 우수한 효과를 확인함과 더불어 1캡슐당 709원이라는 경쟁력 있는 약가 등이 장점으로 평가받고 있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32118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3월 제약사 이모저모]에스티팜, 한국다케다제약, 한국팜비오, 헤일리온 코리아, 한국MSD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월 2일 병원계 이모저모③]국립암센터, 일산백병원, 칠곡경북대병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3월 제약사 이모저모]레졸루트, 셀트리온, 한국아스트라제네카, 한국오가논 등 소식
위드헬스케어
한국화이자제약
GSK2022
한국얀센
한국MSD 202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