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중년기 비만 치매 발생 위험 2배…‘아디포카인’ 치매와 연관성 - 경북대병원 고혜진 교수팀, 전 세계 관련 논문 12편 메타 분석 결과
  • 기사등록 2018-04-02 00:11:05
기사수정

중년기 비만은 치매 발생 위험을 약 2배 높이지만 노인의 비만은 치매 발생과 연관이 없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경북대병원 가정의학과 고혜진 교수팀이 전 세계에서 2005∼2015년 새로 발표된 비만과 치매 관련 연구논문 12편을 메타 분석(meta analysis, 수년 간에 걸쳐 축적된 기존 연구논문을 분석하는 방법)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12편의 논문에서 조사된 인원은 200만명 이상이다


이번 분석 결과 중년 이후의 비만은 치매의 위험도를 1.5배 높이는 것으로 확인됐다. 


중년기 비만과 치매의 관계를 연구한 기존 연구 9편을 통해 중년기 비만은 치매 위험을 1.9배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년기 비만과 치매의 관계를 추적한 논문 3편을 메타 분석한 결과 노인의 비만은 치매 위험과 특별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교수팀은 논문에서 “중년의 경우 비만 자체가 심혈관 질환·대사성 질환의 위험을 높이고 이들이 모두 치매의 위험 요인이다”며, “최근 대사 증후군과 인지 장애가 함께 나타나는 ‘대사성-인지 기능 장애 증후군’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노인의 비만과 치매의 관련성에 대해선 상반된 연구결과가 나오고 있다. 노인의 비만은 치매의 위험 요인이 아니며 오히려 체질량지수(BMI, 비만의 척도)가 25 이상이면 치매의 예방 인자로 작용한다는 연구결과가 제시됐다. 


노년기의 BMI 감소는 치매의 예고탄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반면 70세 이상에서 과체중일수록 치매 발생의 위험이 높아지며 이는 여성에게 더 두드러진다는 정반대의 연구결과도 나왔다. 


이번 연구결과는 대한가정의학회지 최근호에 ‘비만과 치매 발생의 위험: 전향적 코호트 연구의 메타 분석’이라는 내용으로 발표됐으며,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이 소개했다. 


한편 비만은 뇌 조직과 기능을 변화시켜 인지 기능 저하, 치매의 유병률을 높이는 위험요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특히 지방 조직에서 분비되는 아디포카인(염증성 물질)이 치매 발생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의심 받고 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24861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대한근거기반의학회, 본격 창립…발기인대회 및 창립총회 개최
  •  기사 이미지 대한당뇨병학회-이종성 의원실, 정책토론회 개최
  •  기사 이미지 심장종양학연구회 “심장-종양, 임상현장 이해도 증진 실질적 효과 확인”
대한골대사학회
대한두경부외과학회
대한비만연구의사회
위드헬스케어
캐논메디칼
올림푸스한국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