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2017 소비생활지표 조사결과, 국민 소비생활만족 향상 - 43.4% 소비자문제 경험, 가격 관련 문제 경험률 높아
  • 기사등록 2017-11-15 00:04:55
  • 수정 2017-11-15 00:07:26
기사수정

한국소비자원이 발표한 소비생활지표 조사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소비생활만족 지수가 2015년에 비해 크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지난 7월 26일∼8월 22일 전국 20세 이상 남녀 5,0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종합 소비생활만족 76.6점, 2015년 대비 12.8점 향상, 2013년 수준 회복상승
소비자가 평가한 종합 소비생활만족 지수는 76.6점을 기록해 2015년(63.8점) 대비 12.8점 향상됨에 따라 2013년(71.6점) 수준을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생활 분야별로는 식품?외식(78.0점), 의류(77.0점), 주거(76.6점) 등 가계 필수지출 비목의 소비생활만족 지수가 전반적으로 높아졌다.

◆ 자녀양육기 소비생활만족 높고, 은퇴기도 향상
생애주기별로는 자녀양육기 소비자가 가장 높은 만족(77.9점)을 표했고, 은퇴기(76.9점)는 2015년(59.1점) 대비 큰 폭으로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외에 부부가족기 및 독신기 소비자가 체감하는 만족도 각각 상승했다.

◆경상지역 소비생활만족 높아
지역별로는 경북(81.2점), 경남(80.6점), 부산·대구(80.5점) 등 경상권의 만족이 높아진 반면, 제주(67.8점), 세종(65.4점), 전남(65.1점), 강원(61.2점) 등의 지역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43.4%는 여전히 소비자문제 경험
반면, 소비생활에서 문제를 경험한 소비자 비율은 43.4%로 2015년(59.6%)보다 낮아졌지만, 여전히 다수의 소비자가 소비생활 중에 문제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올해 신규 조사 품목인 정보통신기술(ICT) 기기 관련 소비자문제 경험률은 19.3%로, 필수지출 비목인 식료품(24.4%), 외식서비스(23.0%), 의류·신발·가방(22.5%) 다음으로 높은 것으로 조사되어 지속적 시장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가격, 교환·취소·환불·배상어려움, 안전불안 문제 경험 비율 높아
유형별로는 2015년과 마찬가지로 가격(29.2%)에서 가장 높은 문제 경험률을 보였고, 교환·취소·환불·배상 어려움(13.4%), 안전불안(12.6%) 문제와 더불어 2년 전보다 높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사업자 계약불이행(10.5%), 분쟁시 피해구제 어려움(11.6%) 관련 문제 경험률은 상대적으로 많이 상승한 반면, 품질불량(5.9%)으로 인한 문제 경험률은 2년 전보다 6.0%p 줄었다.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생활지표 조사결과를 토대로 소비자권익 증진을 위한 지속적인 소비생활 여건 개선이 중요함을 강조하면서 이번 결과가 ‘취약분야의 소비생활 개선’ 및 ‘지역 실정을 반영한 소비자 행정 활성화’를 뒷받침하는 증거기반 정책 마련의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경제주체를 대상으로 세부 조사결과를 공개할 예정라고 밝혔다.

이를 통해 국내·외 소비자정책 논의 과정에 지표 분석결과를 반영하고, 지역 밀착형 소비자정책 확대 및 맞춤형 지역소비자 행정 활성화의 토대를 강화할 계획이다. 또한, 소비생활지표를 활용한 지역소비자 정책 세미나 개최 등 유관 부처와 소통?협력체계 강화를 지속해나갈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671895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1월 3일 병원계 이모저모③]분당서울대, 양산부산대, 일산백, 중앙대광명병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1월 12일 병원계 이모저모①]강남세브란스, 강릉아산, 중앙대, 자생한방병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1월 23일 병원계 이모저모①]고려대, 강동경희대, 일산백, 부민병원 등 소식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대한간학회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