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약사이모저모] 동국, 동아, 셀트리온, 한국노바티스, 암젠코리아, 한올바이오파마, 유틸렉스 등 소식
조응태 기자
2022-06-24
-
[6월 의료기기 이모저모⑭]딥노이드, 신테카바이오, 세나클소프트, 휴니버스글로벌 등 소식
김영신 기자
2022-06-28
-
[제약사이모저모] 동아, 동국, GC셀, 한미약품, 유틸렉스, 박스터 코리아, 시지바이오 등 소식
조응태 기자
2022-06-26
-
[6월 제약사 이모저모]한국화이자제약, 한국릴리, 한국아스텔라스제약, 한올바이오파마 등 소식
김영신 기자
2022-06-27
-
[6월 의료기기 이모저모⑮]강스템바이오텍, 딥노이드, 뷰노, GC케어 등 소식
김영신 기자
2022-06-29
-
[6월 제약사 이모저모]GSK, 노보 노디스크, 메디포스트 등 소식
김영신 기자
2022-06-28
-
식약처, 바이오의약품 표준화 분야 WHO 협력센터 2021년 주요 성과는?
임재관 기자
2022-06-25
-
얀센 트렘피어, MODIF-Y 연구 결과 발표
김영신 기자
2022-06-20
-
㈜SK바이오사이언스사 코로나19 백신 ‘스카이코비원멀티주’ 중앙약심 회의 결과는? ‘품목허가’
김영신 기자
2022-06-27
-
식약처-17개 지자체, ‘축산물 위생관리법’ 위반 3개 업체 적발…행정처분 등 조치
이다금 기자
2022-06-22
-
식약처 ‘제10기 의약품안전지킴이’ 발족…위촉식 개최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가 6월 24일 ‘제10기 의약품안전지킴이’ 위촉식을 개최했다.제10기 의약품안전지킴이는 대학생, 직장인 등 50명이며, 2023년 11월까지 SNS(누리소통망)를 중심으로 의약품 안전 정책을 홍보하고 국민과 소통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주요 활동 내용은 ▲불법의약품 근절 등 홍보 캠페인 참여 ▲개인 SNS에 홍보 자료 게시 ▲주요 정책, 이슈 등에 대한 포스터·카드뉴스 제작, 표어 발굴 등이다.식약처는 이번에 위촉된 의약품안전지킴이의 행사 참여, SNS 홍보, 컨텐츠 제작 등 실적을 주기적으로 평가해 활동 실적이 우수한 경우 상장을 수여할 예정이다.식약처 의약품안전국 의약품관리과는 “앞으로도 국민이 의약품 안전 정책과 안전관리에 참여하는 기회를 적극적으로 마련해 정책 이해도를 높이는 등 국민 눈높이에 맞춘 소통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한편 의약품안전지킴이는 의약품 안전 정책에 대한 국민적 관심 증대와 국민 참여 기회 확대를 위해 2013년부터 운영해 왔으며, 올해로 10주년을 맞아 그동안 10년간 1,821명이 활동했다.식약처는 의약품안전지킴이의 체계적이고 내실 있는 활동을 위해 이번 제10기부터는 지역별 분배와 SNS 활동 능력과 홍보 콘텐츠 제작 능력 등을 정량적으로 평가해 상위 지원자 50명을 위촉했다. [메디컬월드뉴스]
임재관 기자
2022-06-25
-
2021년 코로나19 백신 총 256로트, 바이러스백신 607로트 등 출하승인
임재관 기자
2022-06-25
-
헬릭스미스, 2023년 퀀텀 점트 통해 2025년 글로벌 유전자치료 기업 도약 의지
㈜헬릭스미스가 2023년 퀀텀 점트를 통해 2025년 글로벌 유전자치료 기업 도약 의지를 보였다. ㈜헬릭스미스 28일 서울 마곡 본사에서 기자간담회를 통해 이같은 의지를 보이며, 유전자치료제 엔젠시스(VM202)의 당뇨병성신경병증(DPN) 미국 임상 3상(3-2) 현황과 함께 수익사업 모델 및 차세대 치료제 개발 현황에 대해 소개했다.◆엔젠시스 미국 임상 3상 현황 헬릭스미스는 우선 유전자치료제 엔젠시스(VM202)를 사용하여 진행 중인 당뇨병성신경병증(DPN) 미국 임상 3상(3-2) 현황에 대해 공유했다. 지난 2020년 6월 개시한 3-2 임상은 28일 현재 기준 환자 152명 중 134명 등록을 완료해 18명이 남아있다. 조만간 IDMC(독립데이터모니터링 위원회)로부터 임상 지속, 임상 규모 수정, 임상 중단 3가지 중 1개를 통보받을 예정이다. 헬릭스미스 김선영 대표이사는 “의뢰자에게는 이중맹검(double blindness)이 유지되기 때문에, 임상 종료 시까지는 명확한 유효성 결과를 알 수는 없다. 하지만 여러 데이터를 감안할 때 좋은 결과를 얻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혁신신약 개발 필요 역량 사업화헬릭스미스는 연구개발, 생산, 품질관리, 임상시험, 규제대응까지 혁신신약 개발에 필요한 역량을 사업화 한다는 계획도 발표했다. 지난 26년간 신약 개발에 필요한 전(全)주기 시스템을 구축했는데, 이를 기반으로 한 3가지 사업을 소개했다. ▲CDMO 사업우선 지난해 설립한 세포유전자치료제 전문 생산 시설 CGT Plant를 기반으로 한 CDMO 사업이다. CGT Plant의 가장 큰 특징은 CAR-T 치료제 분야에서 원스톱(one-stop)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기반기술을 구축, 고객사가 염기서열만 제공해 주면 CAR-T 세포를 만들어 2년 내에 임상시험에 진입할 수 있게 해준다. ▲CRO 사업이어 마곡 본사에 위치한 500평 규모의 동물실험센터를 기반으로 한 CRO 사업이다. 전임상 단계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동물실험이 신약개발 전 과정의 성패를 좌우하는 요인이 되었지만, 현재 국내 바이오텍 기업의 최대 제한 요인이다. 헬릭스미스 동물실험시설은 국내 민간 최대 규모로 꼽히며 자사 품목실험과 함께 외부 품목 수주까지 진행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 사업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 사업도 소개했다. 26년 연구 노하우로 자체 개발한 천연물 혁신치료제를 기반한 건강기능식품 전문 브랜드 ‘큐비앤(cubyN)’과 개별인정형 원료 사업을 운영 중이라는 것이다.◆엔젠시스급 후보물질 다수 개발 헬릭스미스는 엔젠시스급의 후보물질 다수를 개발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적극적 신약 개발을 통해 엔젠시스(VM202)의 가치보다 더 큰 규모의 후보물질을 확보하고 재무이익을 추구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바이오 파이프라인 중 퇴행성 근육손상 질환을 타깃으로 하는 ‘NM101’, 신경근육 질환을 타깃으로 하는 ‘VM301’를 소개했다. CAR-T 연구개발 자회사 ‘카텍셀’의 후보물질 중 난소암을 타깃으로 하는 ‘CX804’와 대장암을 타깃으로 하는 ‘CX801’은 2023년 IND 제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천연물 파이프라인의 경우, 혈당조절 치료물질 ‘HX107’, 전립선건강 치료물질 ‘HX109’, 여성갱년기건강 ‘HX112’가 곧 임상시험 진입을 앞두고 있다는 것이다.[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김영신 기자
2022-06-28
-
[6월 의료기기 이모저모⑯]강스템바이오텍, 레이저옵텍, 소노바그룹, GC지놈 등 소식
김영신 기자
2022-06-30
-
‘식중독’ 국내 사회‧경제적 손실비용 연간 1조 8,532억원…개인 손실 1조 6,418억원
이다금 기자
2022-06-20
-
식약처, 인체모사 기술 적용된 평가도구 개발…ISO 국제표준화 추진
임재관 기자
2022-06-28
-
정부, 공공데이터포털 ‘식품영양성분 통합데이터베이스’ 4만 6천건 개방
이다금 기자
2022-06-29
-
식생활관리서비스 표준가이드 소개…시범사업 추진
이다금 기자
2022-06-28
-
6월 27일부터 국내 수입신고 ‘검사명령’ 시행
이다금 기자
2022-06-27
-
캐논 메디칼 ‘ATI·2D SWE’ 지방간, 소엽성 염증·섬유화 평가 유용성 확인
김영신 기자
2022-06-28
-
확대이미지 영역
-
[6월 제약사 이모저모]한국오가논, 한국얀센, 한국다케다제약, 유틸렉스, GC녹십자 등 소식
-
[5월 의료기기 이모저모⑲]딥노이드, 셀바스AI, 지씨씨엘, 한국오므론헬스케어, 한국알콘 등 소식
-
[6월 8일 병원계 이모저모③]세브란스, 분당차, 일산백, 전북대병원 등 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