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황반변성 ‘소득수준, 교육수준, 직업의 종류’에 따라 위험도 달라져…저소득계층 더 위험 저소득층 조기검진관리가 황반변성 예방에 필수적 2020-10-11
김영신 medicalkorea1@daum.net

대표적 실명질환인 황반변성이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인 가운데 ‘소득수준, 교육수준, 직업의 종류에 따라 위험도가 달라지고, 저소득 계층이 더 위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저소득층 조기검진관리가 필수적이다.


◆황반변성, 사회경제적 문제
정부에서 실시한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2년) 결과 이같이 확인됐다.
▲중증 황반변성 환자…10명 중 4명 저소득층, 고소득층 1.5명꼴
소득수준에 따라 4분위로 나누었을 때, 치료가 필요한 중증 황반변성 환자 중에서 저소득층 비율은 39.1%이었던 반면, 고소득층 비율은 15.9% 이었다.
대한안과학회에 따르면 이는 저소득층이 보다 치료가 필요한 중증 황반변성의 비율이 많은 것을 시사한다.
소득수준에 따른 상대적 위험도를 보면, 저소득층에 비하여 소득 수준이 높은 층에서 치료가 필요한 중증 황반변성에 걸릴 위험도가 약 32% 정도 감소효과를 보였다.
대한안과학회는 “이는 황반변성의 조기 진단을 위해 특히 저소득층에 대한 조기검진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환자 10명중 5.5명…초등학교 이하 최종학력자, 대졸이상 1명꼴
황반변성 유병률은 교육수준 및 직업에 따라서도 다르게 나타났다.
교육수준 낮을수록, 일차산업 종사자일수록 황반변성에 취약해 이들에 대한 검진과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교육수준에 따라 4분위로 나누었을 때, 황반변성 환자들 중에 대학교 졸업이상의 학력을 가진 사람은 9.6%의 비율인 반면, 초등학교 이하의 최종학력을 가진 사람들은 55.7%의 비율을 보였다.
또 대학졸업이상의 최종학력을 가진 사람들은 초등학교 이하의 최종학력을 가진 사람들에 비해, 황반변성에 걸릴 위험이 78% 감소하는 효과를 보였다.
직업의 종류를 크게 9가지로 나누었을 때, 황반변성 유병률은 농업/어업 종사자들이 10.2%로 가장 높았고, 단순노동직 종사자들이 7.7%로 그 뒤를 이었다.
이와 달리 전문직 종사자는 1.04%로 황반변성 유병률이 가장 낮았으며, 사무직 및 공무원이 1.07%로 그 다음으로 낮았다.

◆황반변성 사회적비용 고려 필요 
▲황반변성 사회적 비용…6,900억원

황반변성으로 인한 진료비, 치료비, 생산성손실 비용 등을 모두 포함하는 사회적 비용은 6,900억원으로 파악되고 있다.
대한안과학회는 “이는 심근경색의 사회적비용인 9,700억원에 비교될 수 있을 정도이다. 출혈성 뇌졸중의 사회적 비용인 1조 1,000억원과 비교할 수 있을 정도로 사회적 비용이 상당하다”고 밝혔다.
▲황반변성 생산성손실비용…약 1,300억 원
황반변성은 생산성손실비용이 약 1300억원 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전체 사회적 손실비용의 약 20%가 될 정도로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이는 시력의 감소로 환자들의 노동능력이 떨어지고, 경제적 생산성이 감소된 결과라는 설명이다.
대한안과학회는 “황반변성의 노동능력감소를 통해 국가 경제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며, “따라서 황반변성 예방과 진료에 보다 적극적인 정책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두 눈 실명에 의한 노동력 상실률…92-96%
2010년 대한의학회 기준 노동력 상실률은 92-96%로 매우 높은 노동력 상실률을 보이고 있다.
관상동맥질환의 경우 45-57%의 노동력상실율을 보이고 있으며, 두다리 절단이 67~81%의 노동력 상실율을 보이고 있다.
이는 황반변성 및 여러 안과 질환에서의 시력 상실은 건강장애로 끝나지 않고 노동력 상실로 이어져 사회경제적인 상태를 악화시키는 악순환을 야기시킨다.
대한안과학회는 “따라서 이러한 노동력 상실 및 사회경제적 악순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라도 황반변성을 포함한 실명질환의 예방 및 조기검진이 필요한다”고 밝혔다.


◆저소득층 황반변성 예방 조기치료 위한 제도적 뒷받침 필요
저소득에서 치료가 필요한 중증 황반변성 유병률이 높기 때문에 조기 진단을 위해 소득 몇 분위 구간에 해당하는 65세 이상 노인층에 대해 연 1회 무료 안과검진을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또 ▲농어촌 등 일차산업 종사자 거주비율 높은 지역의 경우, 65세 이상 노인층 대상 연 1회 안과 검사 무상 지원, ▲상기 고위험군 대상 황반변성 증상 안내 홍보 강화 (중심시력저하, 변형시 등 증상이 있을 경우 즉시 안과 검진 필요) 등도 필요하다는 것이다.


◆최근 5년간 황반변성 환자 약 200%증가, 2016년 요양급여비용총액 4100억원
한편 황반변성은 노인성 실명의 원인이 되는 대표적 질환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2019년 전체 황반변성 환자의 약 98.5%가 50대 이상 연령대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70대 환자 수는 전체 환자의 약 38%를 차지, 전 연령구간 중 가장 높았다.
황반변성 환자는 최근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로 인한 경제적 비용부담 역시 가중되고 있는 추세이다.
심평원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1년~2016년) 황반변성 환자 수가 약 200%나 증가했으며, 2016년 요양급여비용총액은 4100억원이었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TAG

라이프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